국적항공사 CEO 긴급대책회의
10일까지 운용실태등 전방위점검
블랙박스 기록장치 내주 미국 이송
3일 정부와 항공업계 등에 따르면 국토교통부 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는 이날 오전 국적항공사 11곳과 긴급안전대책 회의를 열었다.
회의에는 제주항공은 물론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 등 11곳 항공사의 최고경영자(CEO)가 참석했다.

중수본은 각 항공사의 안전강화 대책과 이행 실태에 따라 특별 점검을 실시하도록 할 계획이다.
또 사고기종인 B737-800 총 101대를 운용하는 국내 항공사 6곳에 대한 점검 기간을 오는 10일까지 연장했다. 이를 통해 사고 원인으로 추정되는 엔진과 랜딩기어의 고장 기록을 들여다 보는 것은 물론 정비시간 준수와 적절한 정비부품을 사용했는지 등 사고기와 동일 기종의 운용실태를 전방위적으로 들여다볼 방침이다.
국내에서 자료 추출이 어려워진 블랙박스 비행기록장치(FDR)은 다음주 중 미국으로 이송돼 합동분석에 나선다.
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회(사조위)는 "조사관 2명이 FDR을 가지고 미국으로 건너가 미국 교통안전위원회(NTSB)와 함께 복원 작업을 진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현재는 안전한 이송 방안을 강구하고 통관절차를 밟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FDR 등 블랙박스 분석은 통상 3개월이 걸리지만 미국에서 커넥터 분실에 대한 대안을 찾아야하는 이번 사고에서는 분석 시간이 다소 길어질 것으로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블랙박스 분석이 끝나도 자료 수집, 청문회 등을 거쳐야 해 조사 마무리까지는 최소 수개월이 걸릴 것으로 전망된다.
김동하 기자 rlaehdgk@smartfn.co.kr
관련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