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틴, 핵무기 감축 아이디어 좋아했다…中도 동참할 것"
"우크라전 종전 위해 푸틴 만나길 희망···중국과도 협력할 것"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스위스 다보스에서 개최된 세계경제포럼(WEF)에서 진행한 실시간 화상연설에서 러시아 및 중국과의 핵군축 협상에 대한 언급을 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23일(현지시간) "우리는 비핵화(denuclearize)를 할 수 있는지 알고 싶은데 나는 그것이 매우 가능하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는 "사실 (2020년) 대선 선거 전에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양국간 비핵화에 대해서 이야기를 했다"면서 "(그대로 진행됐다면) 중국도 따라왔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푸틴은 핵무기를 대폭 줄이는 아이디어에 대해 매우 좋아했다"면서 "푸틴과 나는 (당시) 그러길 원했다. 우리는 중국과도 좋은 대화를 나눴으며 그들도 동참했을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우리는 모든 나라들이 (핵 군축에) 따라오게 했을 것"이라면서 "이것은 지구를 위해 믿을 수 없는 일이 됐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 과정에서 중국의 핵 능력과 관련, "중국은 지금 미국보다 상당히 적은 핵무기가 있지만 그들은 향후 4~5년 내 따라잡을 것"이라고 언급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이날 언급한 비핵화(denuclearization)는 핵 군축(nuclear disarmament)을 의미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연합뉴스 등이 보도했다. 핵 군축은 전략 핵무기 등의 규모를 서로 제한하는 개념이며 비핵화는 핵무기 자체를 없애는 콘셉트다.
미국은 러시아와 전략 핵탄두 제한을 골자로 한 신(新)전략무기감축조약(New START·뉴스타트)을 체결한 상태지만, 러시아의 참여 중단 선언으로 내년 2월 종료될 예정이다.
중국은 미국과 별도의 핵 군축 관련 협정을 체결하지 않은 상태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다보스포럼 연설의 핵 관련 발언에서는 북한에 대해 언급하지 않았다.

앞서 그는 취임 당일인 20일 북한을 '핵보유국(nuclear power)'으로 지칭했으며 대선 때는 북한이 핵무기를 많이 갖고 있기 때문에 북한과 잘 지내는 것이 좋다는 취지로 수차 발언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내년 WEF 포럼 전에 우크라이나 전쟁이 종전될지 묻는 말에는 "러시아에 물어봐야 한다"라면서 "우크라이나는 준비됐다"고 밝혔다.
그는 "러시아와 우크라이나간 평화 협상(settlement)을 위한 노력이 기대를 갖고(hopefully) 진행되고 있다"라고 말했다.
이어 우크라이나 전장을 '킬링 필드(killing field·대량 학살 현장)'로 부른 뒤 "그것을 완수하는 일은 매우 중요하다"라면서 "그것은 경제적 이유 때문이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전쟁을 끝내기 위해 곧 푸틴 대통령을 만나길 희망한다"고 밝혔다.
이밖에 트럼프 대통령은 바이든 정부가 인플레이션 대응 및 국경 통제에 실패했다고 강도 높게 비판하면서 "우리 정부는 완전히 무능한 집단으로부터 물려받은 재앙과 미국이 직면한 위기를 해결하기 위해 전례없는 속도로 행동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국경에 현역 군인을 배치한 것 등을 언급하면서 "그것은 진짜(불법 이민자에 의한) 침공이었으며 우리는 결코 우리 영토가 침범되도록 허용하지 않을 것"이라고 거듭 역설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