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면세점이 실적 부진에 못 이겨 시내 면세점 폐점에 이어 인력 효율화를 위한 희망퇴직 시행에 들어간다.
9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면세업계의 불황이 깊어지면서 경쟁업체들도 경영 효율화 작업에 매진하는 분위기다. 특히 면세업계는 코로나 이후 쉽게 반등하지 못하고 있다. 앞서 롯데면세점과 신세계면세점, HDC신라면세점 등도 지난해 희망퇴직 프로그램을 시행했다.
현대면세점은 지난 4일 사내 게시판에 희망퇴직 안내문을 공지했다. 신청 대상은 2021년 12월 31일 이전에 입사한 부장급 이하 전 직원이며 접수 기한은 오는 18일까지다.
근속연수 3년 이상은 성과연봉 기준액 12개월 치를, 5년 이상은 15개월 치를 특별위로금으로 지급받게 된다.
앞서 현대면세점은 이달 1일 이사회를 열어 오는 7월까지 시내면세점인 서울 동대문점을 폐점하고 삼성동 무역센터점은 현재 3개 층에서 2개 층으로 축소해 운영하기로 의결했다.
현대면세점은 업황 부진이 심각해지자 지속한 실적 위기를 타개하기 위해 이같은 결정을 하게 됐다.

지난해 기준 공항 면세점은 300억원대의 연간 영업이익 흑자 달성했으나 시내면세점이 수익성 악화로 고전하면서 전체 288억원의 손실을 냈다. 이는 내외국인의 소비 트렌드 변화와 고환율 등의 악재가 겹쳐 판매가 급감한 탓이다.
현대면세점은 앞으로 무역센터점과 인천공항점에 역량을 집중해 실적 '턴어라운드'를 달성한다는 계획이다.
관련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