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PI 호재에도 미중 관세전쟁 격화에 시장 충격
AI·에너지 업종 낙폭 확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을 제외한 국가에 대해 90일간 상호관세를 유예하겠다고 발표하면서 폭등했던 뉴욕증시가 하루 만에 급락했다. 특히 중국에 적용된 실질 관세율이 기존 125%가 아닌 145%로 확인되면서 미중 무역갈등이 다시 격화할 수 있다는 불안감이 시장 전반을 짓눌렀다.
10일(현지시간) 뉴욕증시에서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는 1,014.79포인트(-2.50%) 하락한 39,593.66에 거래를 마쳤다. S&P500 지수는 188.85포인트(-3.46%) 내린 5,268.05에, 나스닥 지수는 737.66포인트(-4.31%) 떨어진 16,387.31에 각각 마감했다. 전날 기록적인 급등세를 보인 이후 단 하루 만에 상승분의 대부분을 반납한 셈이다.
전날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을 제외한 주요 국가에 상호관세 적용을 90일간 유예한다고 발표해 뉴욕증시는 급등 마감했다. S&P500 지수는 9.52%, 나스닥은 12.16% 오르며 역사적인 상승률을 기록했다. 하지만 이날 중국에 적용된 관세율이 펜타닐 대응 관련 20%가 추가된 총 145%로 확인되면서 투자자들의 불안감이 다시 커졌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각료회의에서 “중국과 합의하길 원한다”고 밝혔지만 불확실성을 잠재우기에는 역부족이었다.
전 업종이 약세를 보인 가운데 기술주와 에너지 업종의 낙폭이 가장 컸다. 테슬라는 7.22% 급락했고, AI 칩 대표주자인 엔비디아는 5.91% 내렸다. 애플(-4.23%), 메타(-6.74%), 아마존(-5.17%)도 하락세를 피하지 못했다.
반도체주는 낙폭이 더 컸다. AMD는 8.41% 하락했고 마이크론(-10.04%), 브로드컴(-6.94%), 인텔(-7.66%)도 크게 떨어졌다. 반도체 업종 전반을 반영하는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는 이날 하루에만 약 8% 하락하며 급락했다.
에너지 업종도 국제유가 하락 영향으로 동반 약세를 보였다. 엑손모빌은 5.55%, 셰브런은 7.57% 떨어지며 시장 전반의 하락 압력을 키웠다.
한편 이날 발표된 3월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전년 동기 대비 2.4% 상승하며 전문가 예상치를 밑돌았다. 이는 4년 만에 가장 낮은 상승률이었지만 무역 갈등 격화에 따른 향후 물가 반등 및 경기 침체 우려를 해소하기에는 역부족이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