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전쟁 격화 속 정부 주도 증시 부양
ETF 확대·보험사 규제 완화까지 총동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사진=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사진=연합뉴스

미국의 고율 관세 공세에 맞서 중국 정부와 국유기업들이 ‘국가대표팀’을 소환했다. 중국은 대규모 자사주 매입과 규제 완화를 통해 증시 하단을 방어하려는 전면전에 돌입했다.

10일(현지시간) 파이낸셜타임스(FT)는 중국 국부펀드인 중앙 후이진 투자유한회사가 “국가팀의 일원으로서 자사주 매입을 확대하겠다”고 공식 발표했다고 보도했다. 후이진은 자신들을 “시장 안정화 자금”이라고 규정하고 중국 자본시장에 대한 낙관적 전망을 강조했다.

국가팀은 2015년 중국 증시 폭락 사태 이후 등장한 개념으로 국유기업과 국책기관이 협력해 시장을 지지하는 구조다. 과거 개별 종목 중심이었던 개입은 현재 상장지수펀드(ETF) 및 지수 전반으로 확대돼 정교한 시장 방어 전략으로 발전하고 있다.

중앙 후이진의 발표 직후 ▲청통 홀딩스가 1000억위안 ▲리폼 홀딩스가 800억위안 규모의 주식 매입 계획을 잇따라 내놨다. 재정부 산하 전국사회보장기금(NCSSF)도 주식 비중 확대를 예고했다. 여기에 시노펙, 차이나모바일, 마오타이 등 중국 상장 대기업 100여곳이 자사주 매입 계획에 동참하면서 민관 연합이 현실화됐다.

중국 금융당국도 전면적인 규제 완화에 들어갔다. 국가금융감독관리국(NFRA)은 국유 보험사들의 주식 매입 규제를 완화했고, 인민은행은 금리 인하 가능성까지 열어두고 있다. 노무라 증권의 중국 수석 이코노미스트 팅 루는 “이번 관세 충돌의 1차 전장은 금융시장이다. 특히 주식시장에서 국가팀의 대규모 개입이 몇 주간 이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1조 위안 자금 투입…ETF·금리 정책까지 가동

관세전쟁이 심화된 가운데 지난 7일 CSI300 지수가 7% 급락하자 중국 당국은 본격적인 대응에 나섰다. 이후 3거래일간 지수는 각각 1.71%, 0.99%, 1.31% 반등하며 회복세를 보였다. 골드만삭스는 7~8일 이틀 동안 A주 ETF에 약 1700억위안(약 33조8000억원)이 유입됐다고 추산했다.

이 같은 증시 방어는 부동산 시장 침체와도 무관하지 않다. 현재 중국에서 실질적인 자산 증식 수단은 주식이 거의 유일해졌고 중국 정부는 투자심리 회복과 소비 활성화를 위해 증시 부양에 주력하고 있다. 지난해 인민은행은 이미 3000억위안 규모의 자사주 매입 프로그램과 5000억위안 스왑펀드를 가동한 바 있는데 골드만삭스는 국가팀이 지난해에만 A주 주식 7400억위안어치를 사들였다고 밝혔다.

UBS의 중국 주식 전략가 멍레이는 “후이진의 ETF 매입 확대는 단순한 자금 투입이 아니라 명확한 의지의 표현”이라며 “자금의 규모와 시점이 정교하게 조율돼 주식시장 하단을 지킬 것이라는 신호가 됐다”고 분석했다.

FT는 “GDP 성장률 달성이 불확실해진 상황에서 중국 정부가 다음 수단으로 금리 인하와 추가 재정정책을 준비할 가능성이 크다”고 전했다. 노무라의 루 이코노미스트는 “기존 예상보다 빠르고 큰 폭의 금리 인하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진단했다.

키워드
#국가팀 #주식
관련기사
저작권자 © 스마트에프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