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단체들은 이재명 대통령을 향해 글로벌 경제강국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이끌어달라는 뜻을 전했다.

새 정부가 글로벌 통상환경 악화와 내수 침체 속에서 민생 안정과 산업경쟁력 강화로 국민경제에 활력을 불어넣어달라는 주문도 했다.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대한상공회의소는 4일 이 대통령 당선에 대해  "저성장, 저출생, 지방소멸 등 국가적 난제에 더해 보호무역주의 확산, AI 기술혁명 등 급변하는 글로벌 환경 속에서 국가적 역량을 하나로 모으는 리더십을 발휘해 국가 발전과 경제 재도약을 이끌어주기 바란다"고 밝혔다.

한국경제인협회도 "새 정부가 성과 중심 실용주의 정책을 바탕으로 대한민국 글로벌 5대 경제강국 도약을 이끌어주기를 기대한다"며 "새 정부는 기업하기 좋은 환경을 조성해 혁신과 도전의 경영이 확산되도록 힘써달라"고 당부했다.

한국경영자총협회는 "새 정부가 성과 중심의 실용주의 정책을 바탕으로 대한민국의 글로벌 5대 경제강국 도약을 이끌어 주기를 기대한다"며 "정부는 기업하기 좋은 환경을 조성해 혁신과 도전의 경영이 확산되도록 힘써주기 바란다"고 강조했다.

경총은 "적극적인 첨단 신산업 육성과 난관에 처한 'K-제조업' 재건으로 성장엔진을 되살리는 것도 시급한 과제"라며 "이제는 한국경제 도약을 위해 정부와 국민, 기업이 함께 힘을 모아야 할 때다. 경제계도 투자와 고용 확대 등 본연의 역할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다짐했다.

한국무역협회는 이 대통령에게 실리 중심의 통상전략을 강조했다.

무협은 "최근 미국발 통상 이슈와 글로벌 기술패권 경쟁 등으로 우리 경제를 둘러싼 불확실성이 한층 고조되고 있는만큼 새 정부는 급변하는 대외통상 질서에 신속히 대응해 기업 대외통상 리스크를 최소화 해주기 바란다"고 했다.

이어 "인공지능과 시스템반도체, 미래차·이차전지, 바이오·제약, 항공우주·방산 등 첨단기술 신산업에 대한 투자 확대, 핵심 기술인재 양성 등을 통해 수출이 지속가능한 성장을 이루도록 새 정부의 적극적인 정책 지원을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스마트에프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