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21대 대통령 선거에서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가 당선되자, 주요 외신들이 일제히 긴급 속보로 관련 소식을 전하며 한국 정치의 변화를 집중 조명했다.
4일 주요 외신들은 이번 선거를 “6개월간의 정치적 혼란을 종식시킨 분기점”으로 평가하며, 한국 민주주의의 회복력을 보여준 사례라고 분석했다.
AP통신은 “어려운 유년기를 거쳐 불평등과 부패에 맞서 싸우겠다고 다짐한 이재명이 대통령에 당선되며, 한국 민주주의의 격동기를 마무리했다”고 보도했다. 이어 이번 선거를 “한국 민주주의의 회복력을 보여준 결정적 순간”으로 평가하면서도, "깊어진 정치적 분열이 이 당선인에게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AFP는 “거의 30년 만에 최고 투표율을 기록한 선거로 수개월간 이어진 정치 혼란에 마침표를 찍었다”고 전했다.
미국 주요 언론은 외교정책 변화 가능성에 주목했다. 월스트리트저널은 “이 당선인이 한미동맹을 중시하면서도 중국과 미국 간 균형 외교를 원하고 있어, 트럼프 전 행정부의 대중국 압박 기조에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고 봤다.
뉴욕타임스(NYT)는 “더불어민주당이 국회 과반을 점한 상황에서 이 당선인은 수십 년 만에 가장 강력한 권력을 갖게 될 한국 대통령 중 하나”라며, 향후 미국과의 관세 협상, 중국과의 외교 균형, 침체된 경제 회복 등이 주요 과제로 떠오를 것이라고 분석했다.
워싱턴포스트(WP)는 “이 당선인은 외교 정책 재편을 꾀하는 진보 성향 인물로, 특히 대중 정책에서 트럼프 대통령과의 갈등 가능성이 있다”고 보도하며, “필요하면 가랑이 밑도 기겠다”는 그의 발언도 함께 소개했다.
일본 언론은 한일 관계에 미칠 여파에 주목했다. 교도통신은 “이 당선인이 윤석열 전 대통령의 대일 외교를 비판했지만, 일본을 중요한 협력 파트너로 보고 있다”고 전했다. 유럽 주요 언론들도 한국 대선을 톱뉴스로 다루며 향후 과제에 대해 분석을 내놨다.
영국 언론도 대선 소식을 비중 있게 다뤘다. BBC는 ‘라이브 블로그’를 운영하며 투·개표 상황을 실시간 중계했고, 가디언은 “계엄 사태 이후의 혼란을 마무리짓는 대선이었다”고 진단했다. 르피가로는 “차기 대통령은 북한의 위협과 미·중 간 대립 속 균형 외교라는 이중 과제에 직면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 이 대통령 취임 연설···"정의로운 통합정부, 유연한 실용정부 될 것"
- [이재명 대통령 당선] 경제단체 "새 정부, 경제 재도약 이끌어 주길"
- 이재명 대통령, 오전 6시21분 임기 시작···오전 11시 국회 로텐더홀서 취임선서
- [이재명 대통령 당선] 한국 경제·금융계 이렇게 변한다
- [이재명 대통령 당선] '내란 종식·중도 확장·실용 정책' 3박자 통했다···총리 김민석,비서실장 강훈식 내정
- [이재명 대통령 당선] 이재명 정부 국정 운영 최우선 과제는
- [이재명 대통령 당선] 12·3 비상계엄에서 6·3 대선, 그리고 이재명 당선까지
- 산업계, 리셋의 시간···이재명이 그리는 '新경제지도'
- 이재명 정부, 0%대 성장 탈출 해법 찾아야···美 관세 대응 급선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