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의약품안전처는 2024년 국내 의약품 생산실적이 32조8629억 원을 기록해 전년 대비 7.3% 증가했다고 27일 밝혔다. 관련 통계가 집계된 1998년 이후 최대치다.
의약품 수출은 전년 대비 28.2% 증가한 12조6749억 원을 달성해 3년 만에 무역수지도 흑자로 전환됐다. 수입은 11조5085억 원으로 집계됐다.
바이오의약품 생산실적은 6조3125억 원으로 처음 6조 원대를 돌파했다. 이 중 유전자재조합의약품이 전년보다 42.7% 증가해 전체의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유럽 수출 거점인 헝가리를 통한 수출 증가도 두드러졌다.

국내 의약품 시장규모는 31조6965억 원으로 전년보다 0.7% 늘었다. 완제의약품 비중은 전체 생산의 86.6%였으며, 원료의약품은 전년 대비 16.8% 증가했다. 일반의약품 역시 9.9% 증가하며 성장세를 보였다.
생산실적 상위 기업은 셀트리온(2조5267억 원), 한미약품, 종근당 순으로 1조 이상 생산 기업은 전년과 동일하게 3곳이었다. 수입 실적 1위는 코로나19 치료제 수입이 급증한 한국화이자제약이 차지했다.
의약외품은 전체 시장규모가 1조7544억 원으로 감소했으나, 방역용품을 제외한 항목은 소폭 증가했다. 자양강장변질제, 치약제, 생리용품이 생산 상위를 차지했으며, 박카스 시리즈가 여전히 품목별 실적 1위를 유지하고 있다.
식약처는 이번 자료가 산업 정책 수립과 기업의 전략 수립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 셀트리온, 다잘렉스 바이오시밀러 국내 임상 3상 승인
- 동국제약, ‘DKMA 부산 심포지엄’ 개최···최신 시술 트렌드 공유
- 유전자 검사, 14세부터 부모·자녀 동시 동의해야 가능
- 제약·바이오, IPO ‘열풍'···"실적에 달렸다"
- 셀트리온 "美 의약품 관세 피해 없게 단계별 대응 전략"
- 셀트리온 "앱토즈마 임상 3상 52주 결과 유효성·안전성 확보"
- 종근당, ADC 기반 항암 신약 美 FDA 임상 1/2a상 승인
- 한미사이언스, 수해 지역 구호물품 지원
- 종근당홀딩스, 전국 6개 사업장서 ‘2025 사랑나눔 헌혈캠페인’ 진행
- 한미약품, 손·발톱 바르는 무좀약 ‘무조날맥스외용액’ 출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