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자동차 수출 직격탄···美 점유율 하락 가속화
배터리도 흔들···전방 수요 둔화·현지화 압박 심화
| 스마트에프엔 = 김동하 기자 | 미국의 상호관세 유예 조치 종료가 임박하면서 기업들이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이미 자동차 및 부품관세 여파로 한국산 제품의 미국 내 점유율 하락 등 변화가 가시화된 가운데 부정적 영향이 클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
5일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에 따르면 올해 1~4월 한국, 멕시코, 캐나다, 일본, 독일 등 주요 자동차 수출국들의 미국 시장 점유율이 일제히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같은 현상은 자동차 및 부품에 대한 25%의 품목 관세가 본격 적용되면서 대미 수출 여건이 악화된 결과로 해석된다.
실제로 미국의 대외 수입은 같은 기간 19.2% 증가한 1조2242억 달러에 달했지만, 한국산 수입은 오히려 5.0% 줄어든 417억 달러를 기록했다. 한국의 미국 수입시장 점유율은 지난해 4.0%에서 올해 3.4%로 하락했다. 순위도 7위에서 10위로 떨어졌다.
특히 주요 대미 수출품목 중 하나인 자동차 및 부품 수출액은 24억3000만달러 감소했다.
멕시코와 캐나다의 경우 USMCA(미국·멕시코·캐나다 협정) 덕분에 북미 내 생산기지로서의 입지를 다지며 자동차·부품과 기계류에서 빠르게 점유율을 확대했다.
현재 10%의 기본 관세가 적용되고 있지만 상호관세 유예가 종료되면 한국의 경우 25% 관세 적용을 받게 된다. 일본 24%, 대만 32%, 인도네시아 32% 등도 적용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무역협상 대상국에 관세 서한을 보낼 예정이다. 이에 따라 북미에 생산기지를 구축한 자동차 및 배터리 기업들의 수입 비용 증가가 우려된다.
김준성 메리츠증권 연구원은 "트럼프 정부의 자동차 품목 관세 25%가 유지되면 현대자동차 영업이익은 연간 6조2600억원 줄어들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에 따라 현대차그룹은 미국 앨라배마주와 조지아주에 있는 현지 공장 가동률을 끌어올려 관세 영향을 최소화하는데 집중하고 있다. 현대차그룹은 수익성이 높은 스포츠유틸리티차(SUV)·럭셔리 모델 신차를 투입해 실적 방어에 나선다는 구상이다.
관세 불확실성은 배터리 업계에도 영향을 끼치고 있다.
관세청 수출입 무역 통계에 따르면 올해 2분기 삼원계 양극재 잠정 수출액은 전분기 대비 13.8% 감소한 10억5000만달러(약 1조4000억원)으로 집계됐다.
니켈코발트알루미늄(NCA) 양극재 수출액은 1분기 약 3억8000만달러에서 2분기 약 2억7000만달러로 28.6% 줄었다.
니켈코발트망간(NCM) 양극재 수출액도 1분기 약 8억3000만달러에서 2분기 약 7억8000만달러로 7% 가량 감소했다.
양극재 수출액이 줄어든 이유는 직접 관세 품목은 아니지만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 불확실성이 지속되면서 전방 산업인 전기차 OEM들이 사업 계획을 결정짓지 못하고 있어서다.
게다가 전기차 구매 세액공제 조기 종료도 추진하고 있어 향후 미국 전기차 시장이 침체될 가능성도 제기된다. 이에 따른 배터리 납품도 지연되고 있다.
배터리 업체들도 현지 생산 확대로 대응에 나서고 있다. LG에너지솔루션은 미시간 홀랜드 공장에서 LFP(리튬인산철) 배터리 대규모 양산을 시작했고, 삼성SDI도 인디애나 GM 합작 공장의 일부 라인을 LFP 전용으로 전환 예정이다.
배터리 업계 관계자는 "미국의 법안과 정책이 날마다 바뀌고 있기 때문에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하고 있는 중"이라며 "현지 생산 확대 및 포트폴리오 다변화로 비용 손실을 줄일 계획"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