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간 2만대 수출도 흔들…9월 세액공제 종료로 추가 위축 가능성
| 스마트에프엔 = 김동하 기자 | 현대차그룹의 대미 전기차 수출이 대폭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현지 생산과 판매가 부진한 탓이다. 오는 9월 미국의 전기차 세액공제 종료로 하반기 전망도 어둡다.
22일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KAMA)에 따르면 현대차·기아가 올해 1~5월 미국에 수출한 전기차는 전년 동기(5만9705대) 대비 88% 감소한 7156대를 기록했다.

현대차(제네시스 포함)는 87.0%가 감소한 3906대, 기아는 89.1%가 줄어든 3250대를 수출했다. 현대차그룹의 전동화 전략이 본격화한 2021년을 제외하면 가장 작은 수출 규모다.
현대차·기아의 대미 전기차 수출은 1∼5월 기준 2021년 4441대, 2022년 2만8474대, 2023년 4만6542대, 2024년 5만9705대로 꾸준히 증가했다.
연간 기준으로는 2021년 1만9820대, 2022년 6만8923대, 2023년 12만1876대, 2024년 9만2049대 등이었는데 올해는 2만대를 넘기는 것도 쉽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이같은 감소세는 최근 현대차그룹이 미국에 전기차 생산 기반을 구축한 가운데 현지 판매도 부진을 면치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현대차그룹은 올해 미국 조지아주에 전기차 전용 공장 '현대차그룹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MGMA)를 준공 후 상반기 동안 아이오닉5 2만8957대, 아이오닉9 4187대를 출고했다.
기아도 지난해 전기차 현지 생산을 시작해 올해 미국에서 EV6 7441대, EV9 7417대를 각각 생산해 판매했다.
여기에 현대차·기아가 미국 전기차 시장에서 고전하는 상황이 겹치며 전기차 수출 수요가 급감한 것으로 해석된다.
워즈 인텔리전스에 따르면 현대차·기아가 올 상반기 미국에서 판매한 전기차는 4만4555대로 작년 동기 대비 28.0% 감소했다.
미국 내 전기차 총판매량이 5.2% 증가했지만 상반기 기준 현대차그룹의 미국 내 전기차 판매량 감소는 2021년 이래 처음이다.
올해 남은 기간 전망은 더 어둡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하나의 크고 아름다운 법안'(OBBBA) 시행으로 전기차 구매 세액공제가 오는 9월 말 조기 종료되는 것이 이유다.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는 최근 보고서에서 현대차그룹의 미국 시장 전기차 판매량이 연간 최대 4만5828대(매출 19억5508만달러·약 2조7200억원) 감소할 수 있다는 분석을 내놓기도 했다.
- 현대차그룹, 전국 집중호우 피해 복구 성금 20억원 전달
- 현대차그룹, 상반기 美전기차 점유율 3위···한 계단 하락
- 럭셔리 힘주는 현대차그룹···'제네시스' 영향력 확대 본격화
- "미 관세, 끄떡없다"···현대차그룹, 글로벌 판매 '성장세' 지속
- 현대차그룹, APEC 에너지장관회의 및 청정에너지·미션이노베이션장관회의 공식 차량 지원
- 현대차, 칸 광고제 3관왕 주인공 AI기반 CSR 홍보 캠페인 '나무 특파원' 공개
- 현대차, 2분기 영업익 3조6016억원···전년비 15.8% ↓
- 기아, '하모니움 교육생과 함께하는 Kia Day' 진행
- 케이엔알시스템 ‘전기차용 화재진압시스템’ 특허 등록···"지하주차장 전기차 화재 자동 진압"
- '중국산 현대차'의 반전···현대차그룹, '中 수출기지'로 돌파
- 보조금·충전인프라↓↓···하이브리드·전기차 '공존' 본격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