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마트에프엔 = 김효정 기자 |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타깃으로 한 문자 메시지나 SNS 게시물에 대한 피싱 사기 우려가 커지고 있다.
23일 보안기업 서프샤크에 따르면,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노린 피싱 사기가 확대될 수 있다.
특히 한국 정부에서 발행하는 소비쿠폰은 URL을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어떠한 문자 메시지(카카오톡 문자 포함)나, 이메일, SNS 게시물에 포함된 링크에 접속하면 안된다.

토마스 스타물리스 서프샤크 사이버 보안 책임자는 "바우처 사기는 정부가 공공 혜택을 발표할 때 자주 발생한다"며, "사기범들은 공무원을 사칭하고 가짜 링크를 보내거나 거짓으로 개인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서프샤크는 피싱 사기범이 이메일로 가짜 소비쿠폰과 랜섬웨어 파일을 보내려고 할 수 있다고 전했다. 조금이라도 의심스러운 이메일 첨부파일 또한 클릭하면 안된다고 강조했다.
피싱 사기범이 정부 기관을 사칭하거나 가짜 웹사이트·앱을 만드는 경우가 있는데 서프샤크는 잘못된 문법이나 철자를 사용하고 특이한 문구가 있는 사이트는 사기일 수 있다고 안내했다.
또 정부나 은행을 사칭하는 사람이 전화를 걸면 일단 전화를 끊고 정부 웹사이트에 나와 있는 공식 번호로 전화하도록 당부했다.
서프샤크는 의심스러운 전화를 받으면 사이버 범죄 핫라인(☎118)이나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에 신고하라고 전했다.
서프샤크 관계자는 "정부 바우처 프로그램은 전화, 문자메시지, 이메일로 개인 정보를 요청하지 않는다"며 "누군가 이러한 요청을 하면 사기범이다"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