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스마트에프엔 = 양대규 기자 | 미국 행정부가 반도체 품목 관세를 다음 달 중 발표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삼성전자, SK하이닉스를 포함한 국내 반도체 업계의 우려가 커지고 있다.
한미 간 무역협상이 진행 중인 가운데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관세 정책을 협상 카드로 사용하고 있기에 반도체 품목 관세가 구체적으로 어떻게 실행될지는 좀 더 지켜봐야 할 수도 있다.
27일(현지시간)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장관은 영국 스코틀랜드 턴베리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유럽연합(EU) 집행위원장이 무역협상 타결을 발표하는 자리에서 무역확장법 232조에 근거한 반도체 관세를 "2주 후에 발표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미 상무부는 지난 4월부터 반도체, 반도체 제조장비, 파생제품의 수입이 국가 안보에 미치는 영향을 판단하기 위한 조사를 벌여왔다. 조사 대상에는 반도체 기판과 웨이퍼, 범용 반도체, 최첨단 반도체, 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microelectronics), 반도체 제조장비 부품 등이 포함됐다.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의 대미 반도체 수출액은 106억달러다. 지난해 대미 반도체 수출 비중은 7.5%다. 중국(32.8%)이나 홍콩(18.4%), 대만(15.2%), 베트남(12.7%)보다는 낮다.
미 상무부가 조사 대상으로 삼은 품목이 모두 반도체 관세에 포함될 경우 삼성전자, SK하이닉스와 같은 반도체 제조업체뿐 아니라 반도체를 부품으로 완제품(세트)을 생산하는 전자 부품업계도 관세 영향권에 들 수 있다.
직접적인 대미 반도체 수출뿐만 아니라 제3국에 수출하는 반도체도 간접적인 관세 영향권에 들 수 있다.
중장기적으로는 완제품 생산업체들이 반도체 관세를 피하기 위해 미국에 생산시설을 갖춘 반도체 업체로 공급망을 바꿀 가능성도 점쳐지고 있다. 구체적인 관세안 발표에 따라 수조원에서 수십조원이 소요될 수 있는 반도체 생산시설을 미국에 신규로 투자할 수도 있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러트닉 장관은 "우리는 반도체 생산을 미국으로 다시 가져올 것"이라고 말하며 반도체 품목관세의 목적이 외국 반도체 기업의 미국 투자 및 미국 내 반도체 공급망 구축이라는 것을 밝혔다.
삼성전자는 미국 텍사스주 테일러에 파운드리 공장을 짓고 있다. SK하이닉스는 인디애나주 웨스트라피엣에 반도체 패키징 생산기지 건설을 준비 중이다. 양사 모두 메모리 생산시설은 미국에 없다.
미 싱크탱크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는 한미 무역협상 관련 보고서에서 "미국의 반도체 제조 역량 확대와 중국이 군사적 목적으로 잠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특정 반도체에 대한 기술적 진보나 접근을 차단하는 게 워싱턴의 초당적 노력"이라고 전했다. 이어 "워싱턴의 이 같은 노력은 한미 간 협력이 도움을 줄 수 있으며, 통해 완전히 갖춰진 산업 생태계로 진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 김정관 산업장관, 美 러트닉 상무장관 만나 '관세인하' 요청
- SK하이닉스 “HBM 2배 성장 자신···M15X·용인 클러스터로 인프라 확대”
- 트럼프 미 대통령 "日상호관세 25%→15%"···한국은?
- 김정관 산업부장관 "대미 관세협상, 총력 대응···민관 원팀으로 대응할 것"
- 삼성전자, 글로벌 대형기업과 22조7648억원 규모 파운드리 계약
- '국경 무력 충돌' 태국·캄보디아, 오늘 말레이시아서 휴전 정상 회담
- 美·EU '15% 관세' 합의··· EU, 대규모 에너지 구매·추가투자 약속
- 삼성전자 23조원 파운드리 수주 주인공은 '테슬라'···자율주행 AI 칩 생산
- 산업장관, '트럼프 수행' 美상무 동선 쫓아 막판 무역협상 '총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