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스마트에프엔 = 김선주 기자 | 정부가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상호관세 부과 시점으로 예고한 8월1일(현지시간) 이전에 한미 무역협상을 타결하기 위해 총력전에 나섰다.
29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과 여한구 산업부 통상교섭본부장은 지난 28일(현지시간) 트럼프 대통령이 머물고 있는 영국 스코틀랜드를 방문, 트럼프를 수행 중인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 등 미국 측 인사들과 접촉한 것으로 확인됐다.
러트닉 장관은 이날 폭스뉴스 인터뷰에서 "한국인들이 저녁 식사 후 나와 (제이미슨) 그리어 미 무역대표부(USTR) 대표를 만나기 위해 스코틀랜드로 비행기를 타고 왔다"고 말했다.
앞서 김 장관과 여 본부장은 지난 24∼25일 러트닉 장관을 만나 두 차례 협상을 했다. 24일에는 워싱턴DC에서 만났고, 25일에는 그의 뉴욕 자택까지 찾아가 협상을 이어갔다.
이후 이들은 러트닉 장관이 트럼프 대통령을 수행하기 위해 스코틀랜드로 떠난다는 것을 파악하곤 빠르게 스코틀랜드행 비행기를 탔다.
관세 부과 유예 시한이 눈 앞에 닥친 만큼 협상을 계속 살려 나가기 위한 조치로 보인다. 러트닉 장관이 한국 관리들의 스코틀랜드 행을 확인한 만큼 현지에서 추가 접촉이 이뤄졌는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러트닉 장관이 언급한 '저녁 식사 후'라는 시점은 26일이나 27일 둘 중 하나일 것으로 예상된다.
러트닉 장관은 27일 트럼프 대통령과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유럽연합(EU) 집행위원장이 스코틀랜드 턴베리의 트럼프 대통령 소유 골프장에서 미-EU 정상회담을 가진 뒤 무역합의를 발표하는 자리에 참석했다.
하지만 러트닉 장관은 이날 트럼프 대통령과 키어 스타머 영국 총리의 미영 정상회담에는 배석하지 않았다.
이날은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미중 3차 고위급 무역회담이 시작되는 날이었지만, 미국 측 대표로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과 제이미슨 그리어 미무역대표부(USTR) 대표가 나섰고 러트닉 장관은 참석하지 않았다.
백악관 공동기자단에 따르면 러트닉 장관은 이날 오후 트럼프 대통령이 스코틀랜드 턴베리에서 애버딘으로 이동하는 대통령 전용기 탑승객 명단에도 포함되지 않았다.
러트닉 장관은 이날 폭스 인터뷰에서 "방금 스코틀랜드에서 돌아왔다"고 밝혔다.
이로 미뤄 김 장관과 여 본부장도 한국으로 돌아가지 않고 이르면 이날 스코틀랜드에서 다시 워싱턴DC로 이동했을 것으로 보인다.
한미 무역협상에서 미국 측 핵심 인사 중 한 명인 러트닉 장관의 동선을 쫓는 셈이다.
다만, 김 장관과 여 본부장이 스코틀랜드에서 러트닉 장관과 그리어 대표를 만나 추가 협상이 이뤄졌다면 얼마나 이견을 좁혔는지는 확인되지 않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