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과 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이 4일 서울 중구 대한상의 회관에서 만나 대화하고 있다. /사진=연합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과 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이 4일 서울 중구 대한상의 회관에서 만나 대화하고 있다. /사진=연합

| 스마트에프엔 = 이장혁 기자 | 한미 관세 협상 타결 직후, 산업계와 정부 수장이 마주 앉았다.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과 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은 4일 서울에서 만나 관세 후속 대응부터 산업 재편, 노동·법제 개선까지 폭넓게 의견을 나눴다. ‘협상 마무리’라는 표현 대신 ‘이제 시작’이라는 공감대 속에서, 기업 부담을 줄이고 글로벌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해법 모색에 나선 자리였다.

4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김 장관은 이날 대한상의와 한국경영자총협회를 연이어 방문해 최 회장과 손경식 경총 회장을 만났다. 한미 관세협상 타결 이후 산업부와 경제계가 처음 소통하는 자리였다.

최 회장은 “많은 사람들이 관세 문제를 걱정했는데 잘 풀어주셔서 다행”이라며 “다만 아직 완전히 끝난 것은 아니다. 대미 관세와 통상 환경을 산업 전략과 맞춰 새로운 산업 지도를 만들어 달라”고 당부했다.

김 장관은 “우리 기업계의 큰 불확실성 하나를 완화한 데 의미가 있다”며 “환자로 비유하면 이제 막 수술이 끝난 단계다. 재발을 막고 기업이 다치지 않도록 후속 대응이 중요하다. 산업 재편과 AI 등 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과제를 민관이 함께 추진하겠다”고 화답했다.

노동조합법과 상법 개정안에 대해서는 “장기적으론 노사문화 정착과 자본시장 신뢰 회복에 도움이 되지만, 기업경영에 과도한 부담이 되지 않도록 하겠다”며 후속 법령 개정, 경제형벌 완화 TF 운영 등을 통해 기업 의견을 적극 반영하겠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산업부 내에 ‘기업환경팀’을 신설·운영할 계획이다.

김 장관은 산업현장의 안전사고 예방을 강조하며 “처벌과 손해배상만으로는 한계가 있다. 기업이 자발적으로 안전 투자를 확대할 수 있도록 제도와 시스템을 정비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10월 APEC 정상회의가 성공적으로 열리도록 민관이 협력해 준비하자고 당부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스마트에프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