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 23일 경기도 과천 서울랜드서 오후 2시부터 10시까지
얼리버드 티켓 오픈 1분 만에 전량 매진···현장 열기 실감

지난 8월 23일 경기도 과천시 서울랜드에서 '2025 카스쿨 페스티벌(CassCool Festival)이 열렸다. 사진은 메인스테이지인 '프레시 스테이지'의 모습이다./사진=김선주 기자
지난 8월 23일 경기도 과천시 서울랜드에서 '2025 카스쿨 페스티벌(CassCool Festival)이 열렸다. 사진은 메인스테이지인 '프레시 스테이지'의 모습이다./사진=김선주 기자

| 스마트에프엔 = 김선주 기자 | 무더운 여름 열기보다 더 뜨거워질 수 있는 이 곳, '2025 카스쿨 페스티벌(CassCool Festival, 이하 카스쿨)이다.

지난 23일 경기도 과천시 서울랜드에서 열린 제3회 카스쿨은 오비맥주 카스의 대표적인 여름 콘텐츠로 자리 잡았다. 지난 6월 16일 오픈된 카스쿨 얼리버드 티켓은 단 1분 만에 전량 매진됐으며, 지난해에는 약 1만 5000명이 참여했다. 국내 맥주 브랜드 중 자체적으로 페스티벌을 개최하는 건 카스가 유일하다.

키링, 고글 투명, 투명 파우치 등을 D.I.Y.할 수 있는 스웨크샵 내부의 모습이다./사진=김선주 기자  
키링, 고글 투명, 투명 파우치 등을 D.I.Y.할 수 있는 스웨크샵 내부의 모습이다./사진=김선주 기자  

2025 카스쿨, 무엇이 특별할까

현장에는 인증 이벤트와 ‘아이스 브레이킹 챌린지’ 등도 마련됐다. 프로그램 체험 후 인스타그램 스토리에 인증하면 ‘스웨그샵&스타일링 라운지’ 할인권을 받을 수 있다.

스웨그샵에서는 고글, 키링, 투명 파우치 등 카스쿨 분위기에 어울리는 아이템을 직접 D.I.Y.할 수 있다. 공연 중 물이 뿌려지는 경우가 많아 고글을 구매하는 관람객이 특히 많았다.

스타일링 라운지에서는 카스쿨의 브랜드 컬러 ‘블루’를 활용한 화려한 페스티벌 메이크업과 헤어스타일링을 받을 수 있다./사진=김선주 기자 
스타일링 라운지에서는 카스쿨의 브랜드 컬러 ‘블루’를 활용한 화려한 페스티벌 메이크업과 헤어스타일링을 받을 수 있다./사진=김선주 기자 

스타일링 라운지에서는 카스쿨의 브랜드 컬러 ‘블루’를 활용한 화려한 페스티벌 메이크업과 헤어스타일링을 받을 수 있다. 5000원부터 시작하며, 소요 시간도 약 5분에 불과해 많은 여성 관람객이 줄을 서서 기다리는 모습이 눈에 띄었다.

‘카스케이드 약수터’에서는 갓 나온 신선한 카스를 맛볼 수 있다./사진=김선주 기자 
‘카스케이드 약수터’에서는 갓 나온 신선한 카스를 맛볼 수 있다./사진=김선주 기자 

‘카스케이드 약수터’는 시원한 폭포처럼 쏟아지는 맥주 콘셉트의 공간으로, 가장 포토제닉한 스팟 중 하나다. 이곳에서는 갓 나온 듯 신선한 카스를 맛볼 수도 있다.

‘카스쿨 라이드’는 대형 슬라이드에서 튜브를 타고 미션을 수행하는 체험 프로그램이다./사진=김선주 기자 
‘카스쿨 라이드’는 대형 슬라이드에서 튜브를 타고 미션을 수행하는 체험 프로그램이다./사진=김선주 기자 

‘카스쿨 라이드’는 대형 슬라이드에서 튜브를 타고 미션을 수행하는 체험 프로그램이다. 내려오는 순간이 자동으로 촬영돼 사진으로 제공되며, 미션 성공 시 카스쿨 내 부스에서 사용할 수 있는 할인권도 받을 수 있다.

‘카스 아이스 돔’은 거대한 풍선 돔 안에서 짜릿한 청량감과 역대급 쿨링을 체험할 수 있는 공간이다./사진=김선주 기자 
‘카스 아이스 돔’은 거대한 풍선 돔 안에서 짜릿한 청량감과 역대급 쿨링을 체험할 수 있는 공간이다./사진=김선주 기자 

‘카스 아이스 돔’은 거대한 풍선 돔 안에서 짜릿한 청량감과 역대급 쿨링을 체험할 수 있는 공간이다.

'물총 충전소'에서는 물총놀이를 즐기는 관람객도 있었다./사진=김선주 기자 
'물총 충전소'에서는 물총놀이를 즐기는 관람객도 있었다./사진=김선주 기자 

프레시 스테이지 뒷편에는 '물총 충전소'가 마련돼 있어 공연을 즐기던 관람객들이 물총 싸움을 벌이며 축제를 만끽하기도 했다.

레몬 스테이지는 야외공연장에서 콘서트 콘셉트로 열리는 무대다. 가장 마지막 아티스트인 이승윤의 모습이다./사진=김선주 기자 
레몬 스테이지는 야외공연장에서 콘서트 콘셉트로 열리는 무대다. 가장 마지막 아티스트인 이승윤의 모습이다./사진=김선주 기자 

“내년에도 또 오고 싶어요!”

카스쿨은 오후 2시부터 10시까지다. 참여형 프로그램만 돌아도 1~2시간은 금세 지나갔다. 특히 오후 5시 이후부터는 인기를 실감할 수 있었다. 대공원역에서 서울랜드로 이동하는 코끼리열차는 줄이 끝없이 이어졌고, 서울랜드 정문은 엄청난 인파로 붐볐다.

각 부스 앞 줄은 점점 길어졌고, 오징어게임 코스튬을 입은 관람객, 시원한 비치룩 차림의 관람객, 갑자기 비보잉을 선보이는 외국인 관람객 등 다채로운 모습이 페스티벌 자체의 풍경이 됐다.

무엇보다 ‘맥주’라는 콘텐츠로 모두가 하나 된다는 점이 인상적이었다. 스테이지 곳곳은 카스 생맥주, 카스 레몬, 카스 0.0을 손에 든 관람객들로 가득했다.

한 20대 여성 관람객은 “기대 이상으로 너무 재밌었다. 더워도 물에 젖으면 시원해져서 다시 뛰어놀게 된다”며 “정말 신나게 놀았다”고 소감을 밝혔다.

30대 후반 부부 관람객은 “혹시 우리만 부부로 온 건 아닐까 걱정했는데, 생각보다 부부끼리 온 분들이 많았다”며 “남녀노소 모두가 즐기기 좋은 축제 같다”고 말했다.

또 다른 30대 남성 관람객은 “페스티벌을 즐기는 편이 아니라 평생 한 번도 안 가봤는데, 친구가 꼭 가보라며 데려와서 왔다”며 “생각보다 재밌어서 내년 여름에도 또 오고 싶다. 페스티벌이 낯선 사람도 부담 없이 즐길 수 있고, 운영 시간 대비 가성비도 좋다”고 전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스마트에프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