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일본서 만난 트럼프와 시진핑/ 사진=연합뉴스
2019년 일본서 만난 트럼프와 시진핑/ 사진=연합뉴스

| 스마트에프엔 = 양대규 기자 | 미국과 중국이 스페인에서 열린 고위급 무역 협상에서 틱톡 처리 문제에 대해 원칙적 합의에 도달했다. 미국 내 안보 논란이 제기돼온 틱톡을 두고 양국이 일정한 틀을 마련한 것이다.

다만 관세와 수출통제 같은 주요 사안에서는 완전한 해법을 찾지 못해, 이번 합의를 계기로 무역 전쟁의 출구를 열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린다.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15일(현지시간) SNS 트루스소셜에 글을 올려 "무역 협상이 매우 잘 됐다"며 "우리나라의 젊은이들이 정말로 구해내고 싶어 했던 '특정' 기업에 대해서도 합의에 도달했다"고 전했다. 특정 기업은 틱톡이다.

그는 19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이번 협상 결과를 직접 논의할 계획이다.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은 마드리드 협상 직후 "프레임워크는 틱톡을 미국이 통제하는 소유(구조)로 바꾸는 것"이라고 밝혔다. 다만 그는 "우리는 프레임워크가 있지만 정상들이 합의를 확정해야 한다"고 선을 그었다.

리청강 중국 상무부 부부장은 "솔직하고 심도 있으며 건설적인 소통을 진행했다"며 "협력을 통해 기본적 합의에 도달했다"고 말했다.

틱톡은 미국에서 폭넓게 이용되고 있는 앱이다. 다만 모회사 바이트댄스가 중국 기업이라는 이유로 개인정보 유출과 해킹 우려가 꾸준히 제기돼왔다. 미국 의회는 지난해 4월 바이트댄스가 지분을 매각하지 않으면 틱톡을 금지하는 법안을 통과시켰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젊은 층의 반발을 의식해 법 시행을 미루고 중국과 협상을 이어왔다.

트럼프 대통령은 과거 ▲ 틱톡 미국 사업 분리 ▲ 신규 미국 법인 설립 ▲ 미국 투자자의 과반 지분 확보 ▲ 바이트댄스의 소수 지분 보유 등의 인수안을 제시했으나 중국 정부 반대로 무산된 바 있다. 이번에는 중국 당국이 트럼프의 방중 성사를 위해 매각 요구를 수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 언론은 오라클이 틱톡 지분 인수 후보로 거론된다고 전했다. 오라클은 이미 틱톡에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트럼프 대통령이 오라클 창업자 래리 엘리슨을 지지해온 점도 주목된다.

이번 합의로 당초 17일 마감 예정이던 틱톡 매각 시한도 연장될 가능성이 크다. 협상에서는 틱톡 외에도 ▲ 관세 조정 ▲ 자금 세탁 방지 협력 ▲ 엔비디아 반독점 조사 ▲ 중국의 러시아산 원유 수입 문제 등이 논의됐다.

저작권자 © 스마트에프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