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부/사진=연합뉴스
보건복지부/사진=연합뉴스

| 스마트에프엔 = 양대규 기자 | 올해 8월까지 보건복지부 해킹 시도가 5만6000건을 넘어섰다. 작년 대비 166배 수준으로 크게 올랐다..

29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조국혁신당 김선민 의원이 보건복지부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들어 8월까지 복지부에 대한 해킹 시도는 5만6208건이다.

복지부에 대한 해킹 시도는 2022년 1144건에서 2023년 211건으로 줄었다가 지난해 338건을 기록했다. 올해가 다 가지 않았는데 8월에 이미 지난해보다 는 약 166배 수준으로 급증한 셈이다.

복지부 외에 산하기관에 대한 해킹 시도도 증가했다. 국민건강보험공단 해킹 시도는 7만5513건이다. 작년 3만8570건 대비 2배 가까이 늘었다.

한국사회보장정보원에는 6만8494건의 해킹 시도가 있었다. 작년 5199건 대비 1217% 급증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해킹 시도는 5만3888건이다. 전년비 104% 증가했다.

복지부는 오는 11월까지 고위험 기관의 보안을 강화하기 위해 해킹 등 외부 공격을 식별하고 분석·차단하는 '공격표면관리'(ASM) 설루션 검증도 진행할 예정이다.

김선민 의원은 "복지부뿐 아니라 국민들의 재산·소득 정보를 가진 사회보장정보원까지 예년에 비해 해킹 시도가 급증하고 있어 언제라도 큰 피해가 발생할 수 있는 상황"이라며 "기관이 보유한 개인정보의 중요도를 분류해 위험도가 높은 기관에 대해서는 특별관리를 해야 할 것"이라고 요구했다.

복지부 측은 "동일한 수준의 보안관제를 일괄 적용 중이나, 최근 해킹 시도가 늘어 고위험 기관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보안관제가 필요한 상황"이라며 "각 기관의 위험도를 분류해 고위험 기관을 심층·집중적으로 관리하는 단계적 보안관제 체계를 수립 중"이라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스마트에프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