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자원 관계자 등 4명 입건에 이어 강제수사 착수

지난달 30일 대전 유성구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화재 현장에서 감식 관계자들이 불이 붙었던 무정전·전원 장치(UPS)용 리튬이온배터리의 상태를 살피고 있다./사진=연합뉴스
지난달 30일 대전 유성구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화재 현장에서 감식 관계자들이 불이 붙었던 무정전·전원 장치(UPS)용 리튬이온배터리의 상태를 살피고 있다./사진=연합뉴스

| 스마트에프엔 = 지원선 기자 | 정부 전산망 마비사태를 불러온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화재 원인을 조사중인 경찰이 강제수사에 착수했다.

대전경찰청은 2일 인력 30여명을 투입해 국정자원과 관련 업체 3곳 등 4곳에 대한 압수수색을 했다고 밝혔다.

경찰은 화재 원인으로 지목되는 리튬이온 배터리 이전 작업 관련 계약서나 공문서 등 자료 확보에 주력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앞서 경찰은 국정자원 측으로부터 관련 자료를 임의 제출받아 살펴왔으나, 시스템 복구를 최우선하고 있어 적극적인 협조를 받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경찰은 압수수색 필요성을 열어두고 수사하던 중 이날 영장을 집행하고 강제수사에 착수했다.

앞서 경찰은 국정자원 관계자 1명과 배터리 이전 공사현장 업체 관계자 2명, 작업 감리업체 관계자 1명 등 4명을 업무상 실화 혐의로 입건한 바 있다.

여러 차례 현장 감식 결과와 참고인 조사 등을 진행한 경찰은 이들 4명이 불이 난 원인과 관련이 있다고 보고 있다.

지난달 26일 오후 8시 16분께 국정자원 5층 전산실 리튬이온배터리에서 불이 나 배터리 384개와 서버가 불에 타 정부 전산시스템 647개가 마비됐다.

소방당국은 장비 67대와 인력 242명을 투입, 약 10시간 만에 큰 불길을 잡고 다음날인 27일 오후 6시께 진화했다.

발생 일주일째인 이날 기준 복구율은 10%대로, 여전히 불편이 이어지고 있다.

저작권자 © 스마트에프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