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상황센터에서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이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행정정보시스템 화재 관련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11차 회의를 주재하며 발언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13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상황센터에서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이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행정정보시스템 화재 관련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11차 회의를 주재하며 발언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 스마트에프엔 = 한시온 기자 |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대전 본원 화재로 멈춰섰던 정부 전산망 복구가 속도를 내고 있다. 전체 709개 시스템 중 260개(36.7%)가 정상화되며 복구 작업이 본격화됐다.

연합뉴스 등 보도에 따르면 윤호중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장(행정안전부 장관)은 13일 국정자원 대전 본원 화재와 관련해 “8전산실 전력 공급이 재개된 만큼 복구에 속도를 내야 할 때”라고 밝혔다.

윤 본부장은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중대본 회의에서 “정부는 안전·보안·신뢰의 3대 원칙 아래 신속하고 성공적인 복구를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국정자원 대전 본원은 2층부터 5층까지 9개 전산실로 구성돼 있으며, 화재는 5층 7-1전산실에서 발생했다. 인접한 7·8전산실도 분진과 연기 피해를 입었다.

7전산실은 분진 제거 작업이, 완전히 소실된 7-1전산실은 공주센터에 소산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복구가 진행 중이다. 중대본은 7-1전산실의 데이터가 복구되면 대전센터 또는 대구센터에 신규 장비를 도입해 복구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8전산실은 분진 제거를 마치고 전력 공급이 재개됐다.

윤 본부장은 “복구 과정에서 안전 관리 체계를 강화하고 전력 공급·장비 가동·전산실 작업 단계마다 위험 요인을 철저히 점검하겠다”며 “주요 정보통신 기반시설인 국정자원에서는 단 한 건의 보안사고도 발생해선 안 된다”고 강조했다.

중대본에 따르면 이날 오전 9시 기준 행정 정보 시스템 709개 중 260개(36.7%)가 복구됐다. 1등급 핵심 시스템 40개 중에서는 30개(75%)가 정상화됐다.

우체국 쇼핑(우편정보 ePOST 쇼핑), 나라장터 쇼핑몰 등 주요 전자거래 시스템이 복구돼 다시 가동 중이다.

화재 직후 지난달 30일 2700여 건에 달했던 시스템 장애 관련 콜센터 상담 건수는 현재 300건 안팎으로 줄었다. 주요 문의는 시스템 장애 불편, 대체 시스템 등 민원 신청 방법, 기한 연장 등이다.

윤 본부장은 “이재명 대통령께서도 현장 방문 당시 신속한 복구와 재발 방지 대책을 강조하셨다”며 “주무 장관으로서 책임감을 갖고 시스템 정상화와 근본적 재발 방지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스마트에프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