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스마트에프엔 = 양대규 기자 | 지난 주말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본원에서 발생한 화재로 인해 국가 주요 전산망이 마비되는 초유의 사태가 벌어졌다. 나흘째 복구 작업이 이어지고 있으나, 여전히 상당수 서비스가 중단돼 국민 불편이 가중되고 있다.
29일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정부는 전일 오전 11시 25분 국정자원 본원 내 네트워크와 보완장비 가동을 시작했다. 2∼4층 전산실 시스템을 순차가동하고 있으며 화재가 발생한 5층 전산실을 아직 가동을 하지 못하고 있다.
화재는 25일 대전 본원 5층 전산실에서 발생했다. 화재 직후 안전 조치를 위해 2~4층 전산 시스템 가동이 선제 중단되면서 총 647개의 정부 관련 온라인 서비스가 멈췄다.
행정안전부는 즉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를 가동하고 복구에 나섰다. 26일 새벽에는 항온·항습기 복구를 완료했으며, 이후 일부 시스템을 순차적으로 재가동했다. 28일 오후 10시 기준 복구된 서비스는 모바일 신분증, 디지털예산회계시스템(디브레인) 등 30여 개에 불과해 전체 복구율은 4.6%에 머물렀다.
직접 피해를 입은 핵심 시스템은 96개다. 나머지 551개는 피해 확산을 막기 위해 가동이 중단됐다. 정부는 전소된 핵심 시스템을 대구센터 민관협력형 클라우드로 이전해 복구할 계획이다. 이 과정에 최소 2주 이상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된다.
행안부 관계자는 "전소된 서비스는 철거하고 재설치하는 것보다 대구센터로 옮겨 새로 설치하는 것이 훨씬 효과적이라고 판단했다"며 "자원 풀을 구성하는 데 시간이 필요해 완전 복구까지 약 2주 정도 걸릴 것"이라고 말했다.
복구 대상에는 국민신문고, 국가법령정보센터, 공무원 내부망 ‘온나라’ 등 필수 행정 서비스가 다수 포함돼 있다. 이에 따라 전국 현장에서는 민원 처리 지연이 현실화되고 있다.
정부24와 무인민원발급기 중단으로 각종 증명서 발급이 불가능해졌다. 소비쿠폰 온라인 이의신청, 화장시설 예약, 개인정보 침해 신고 등도 온라인으로 진행할 수 없다. 시민들은 직접 기관을 찾아가거나 이메일·전화로 우회해야 하는 상황이다.
경제 활동에도 타격이 발생했다. 조달청의 ‘나라장터’ 서비스가 멈추면서 공공 입찰과 기업 활동에 제약이 커지고 있다.
정부는 국민 생활과 재산에 직결된 시스템을 우선 복구하고 투명한 상황 공유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핵심 서비스 정상화까지는 상당한 시일이 필요해 당분간 국민 불편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윤호중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장(행안부 장관)은 "국민들의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투명하게 상황을 공유하고, 업무 연속성 유지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 '국가 전산망 멈췄다' 대전 국정자원 전산실서 리튬이온배터리 화재
- 李대통령 지지율 55%···지난주 대비 5%p 하락[한국갤럽]
- LG전자 조주완 CEO, 사우디 투자부 장관과 네옴시티 냉각솔루션 협력 논의
- 李 대통령, 美베센트와 논의···"관세협상 상업적 합리성 바탕 중요"
- 전남도, '블랙록 AI 데이터센터' 솔라시도 유치 총력
- '국정자원 화재' 마비된 우편 서비스, 추석 앞두고 긴급 복구
- 정부 전산 장애 틈탄 금융사 사칭 스미싱 기승···"금융소비자 주의해야"
- 국정자원 전산시스템 복구율 20% 근접
- “8전산실 전력 재개”···중대본, 국정자원 시스템 36.7% 정상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