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통신 3사가 추석 연휴 맞이 집중 관리 대책을 내놓았다. / 사진=SK텔레콤
이동통신 3사가 추석 연휴 맞이 집중 관리 대책을 내놓았다. / 사진=SK텔레콤

| 스마트에프엔 = 양대규 기자 | 추석 연휴를 맞아 이동통신 3사가 일제히 ‘네트워크 집중 관리 대책’을 내놓았다. 

귀성·귀경길과 국내외 여행 수요가 몰리면서 데이터 트래픽이 급증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각사는 종합상황실 운영과 현장 인력 배치, 기지국 증설 등 안정적인 통신망 운영을 위해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SK텔레콤은 2일부터 9일까지 특별 소통 상황실을 운영하며 연휴 기간 통신 품질 관리를 강화한다고 2일 밝혔다. SK브로드밴드, SK오앤에스, 홈앤서비스 등 관계사까지 총 1만 2천여 명의 인력을 투입해 전국 통신망을 24시간 모니터링한다.

KTX·버스터미널·공항·휴게소·관광지·성묘지 등 이용객이 몰리는 장소와 고속도로 정체 구간을 중심으로 5G·LTE 기지국 용량 증설을 마쳤다. SKT는 추석 당일인 6일 데이터 트래픽이 평시 대비 약 19% 증가할 것으로 보고, 사전 점검과 최적화 작업을 완료했다.

이와 함께 10월 3일부터 9일까지 7일간 전 고객을 대상으로 영상통화 무료 서비스를 제공하며, 국제 로밍 수요 증가(최대 30% 예상)에 맞춰 해외 중계 사업자와 협력 체계도 강화했다. 보안 측면에서는 통합보안관제센터를 중심으로 디도스(DDoS) 공격과 해킹 시도를 실시간 감시한다.

윤형식 SKT 인프라운용본부장은 “이번 추석 연휴 동안 급증하는 데이터 사용과 대규모 이동에 대비해 만반의 준비를 마쳤다”며 “한가위 추석 명절 기간 고객들의 원활한 안정적인 이동통신 서비스 이용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KT는 오는 9일까지 네트워크 집중 관제 체제에 돌입한다. 전국에서 약 4000명의 네트워크 전문가가 투입된다. 과천 네트워크 관제센터에 종합상황실을 설치해 유무선 서비스 이상 여부를 24시간 모니터링한다.

KT는 고속도로·휴게소·KTX·SRT 역사·공항·쇼핑몰 등 665곳을 집중 관리 지역으로 지정하고, 기지국 증설과 품질 점검을 완료했다.

KT는 연휴 기간 스팸 문자와 피싱 공격이 늘어날 것에 대비해 ‘AI 클린메시징 시스템’을 가동해 실시간 차단에 나선다. 또한 지능화되는 DDoS 공격에 대응하기 위해 딥러닝 기반 ‘AI 디도스 스캐너’를 활용, IoT 단말 환경에서 발생하는 악성파일을 10분 이내로 분석하고 차단한다.

KT 네트워크운용본부장 오택균 상무는 “예년보다 길어진 추석 연휴기간에도 고객들이 불편함 없이 즐거운 명절 연휴를 보낼 수 있도록 네트워크 품질관리 및 안정운용 체계를 강화했다”며, “안정적인 통신 서비스 제공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동통신 3사가 추석 연휴 맞이 집중 관리 대책을 내놓았다. / 사진=LG유플러스
이동통신 3사가 추석 연휴 맞이 집중 관리 대책을 내놓았다. / 사진=LG유플러스

LG유플러스는 최대 10일간 이어지는 추석 연휴를 앞두고 ‘특별 소통 대책’을 마련했다. 연휴 동안 LG유플러스는 네트워크 특별 소통을 위한 비상운영체계에 돌입해 고객들이 데이터와 음성 등 통신 서비스를 원활하게 이용하도록 준비한다.

서울 마곡사옥에 종합상황실을 설치해 24시간 집중 모니터링을 실시하고, 전국 고속도로·휴게소·철도역·공항·터미널 등 통신 수요가 많은 장소를 대상으로 사전 점검과 품질 최적화를 완료했다.

또한 주요 고속도로 요금소·정체구간 등 중요 거점에는 현장 요원을 배치해 즉각 출동할 수 있는 체계를 갖췄다. OTT와 IPTV 사용량 증가에 대비해 캐시서버 용량을 증설한 것도 특징이다.

LG유플러스는 3일부터 9일까지 전 고객(알뜰폰 가입자 포함)을 대상으로 영상통화를 무료 제공한다. 단, 선불폰 이용자와 카카오톡·페이스톡 등 데이터 기반 영상통화는 대상에서 제외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스마트에프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