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스마트에프엔 = 김준하 기자 | '주가조작 근절 합동대응단'이 28일 NH투자증권 고위 임원이 공개매수 관련 미공개 정보를 이용해 20억원 규모의 부당이득을 챙긴 혐의로 본사 임원실과 관련 부서를 압수수색했다. 이번 사건은 이재명 대통령이 불공정거래 척결을 위해 출범한 합동대응단의 '2호 사건'이다. NH투자증권에서는 지난 7월에도 공개매수 담당 직원의 미공개 정보 이용 혐의에 대해 압수수색이 진행된 바 있다.
합동대응단에 따르면 NH투자증권 임원 A씨는 최근 2년간 회사가 주관한 11개 종목의 공개매수 정보를 직장 동료와 지인 등에게 반복적으로 전달했다. 이들은 공개 전 주식을 매수하고, 공표 후 전량 매도하는 방식으로 약 20억원의 부당이득을 편취한 것으로 파악됐다.
공개매수는 경영권 확보 등을 목적으로 일정 기간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증권시장 밖에서 주식을 매수하는 행위다. 합동대응단은 "공개매수 가격은 통상 현 주가보다 높게 책정돼 발표 시 주가가 상승하는 '호재성 정보'로 인식된다"며 "자본시장법은 일반투자자에게 공표되기 전까지 이러한 정보가 주식매매에 이용되지 못하도록 금지한다"고 설명했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해 감독당국에 통보된 불공정거래 혐의 유형 중 공개매수 미공개정보를 이용한 유형은 12건으로, 전체 공개매수 건수(26건)의 절반 수준에 달했다.
합동대응단은 이번 사건에서도 공개매수 발표 전후에 증권사 임원과 정보이용자들 사이에 주식매매 자금으로 추정되는 거액의 금전거래가 여러 번 발견됐고, 부당이득을 공유한 정황도 포착됐다고 밝혔다.
또한 혐의자들은 친인척 등 타인 명의의 증권계좌를 사용했고, 차명 계좌도 수시로 변경하며 매매한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합동대응단은 범죄 혐의가 재판에 의해 확정된 사실이 아님을 유의하라고 당부했다.
이번 사건과 별개로 지난 7월에도 NH투자증권에서는 공개매수 담당 직원의 미공개정보 이용 혐의에 대해 압수수색이 진행된 바 있다.
NH투자증권은 2023년부터 올해 상반기까지 진행된 공개매수 55건 중 28건을 주관하며 절반 이상을 담당했다. 합동대응단은 "NH투자증권은 공개매수 업무를 총괄하는 주관 증권사로서 독보적 지위에 있다"고 평가했다.
NH투자증권은 공식 입장을 통해 "당사는 이번 사안의 중대성을 엄중히 인식하고 있다"며 "CEO는 해외 출장 중인 해당 임직원에게 즉시 복귀를 명해 적극적으로 조사에 응하고 소상히 소명하도록 지시했다"고 밝혔다.
이어 "회사 차원에서도 사실관계를 면밀히 규명하는데 적극 협조하고, 추후 조사 결과에 따라 적절한 후속 조치를 취할 방침"이라고 덧붙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