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 AI 서밋 2025 개최···최태원 회장 기조연설 참여
"AI 수요 폭발, 공급 따라가기 어려워"
"AI로 AI를 만든다···엔비디아와 제조 AI 협력"

| 스마트에프엔 = 양대규 기자 | "AI의 시대는 이미 시작됐다. 이제는 더 이상 AI가 스케일 경쟁이 아닌 효율의 경쟁으로 패러다임 전환이 필요한 상태다"
3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SK AI 서밋 2025’에 키노트 발표를 맡은 최태원 SK그룹 회장은 이같이 밝히며 "AI의 폭발적 수요에 대응해 가장 효율적인 인공지능 인프라와 솔루션을 만드는 것이 SK의 미션"이라고 강조했다.
최 회장은 이날 키노트 강연자로 나서 글로벌 AI 생태계 변화와 SK의 대응 전략을 구체적으로 제시했다. 그는 "(APEC CEO) 서밋 내내 모든 이야기가 AI에 점철됐다"며 "거의 모든 사업과 정치와 경제 안보 군사까지도 전부 다 AI가 화두의 중심 있다"고 말했다.
그는 AI 투자가 급증하고 있음을 수치로 설명했다. "2020년 2300억달러 수준이던 AI 데이터센터 투자는 올해 6000억달러에 이를 것으로 보인다"며 "매년 24%씩 계속 증가해 왔다"고 진단했다. 이어 "꾸준히 24%씩 증가하던 추세를 넘어 지금은 ‘기하급수적(익스포넨셜)’으로 성장할 확률이 존재한다"고 덧붙였다.
그는 "오픈AI가 700조원 규모의 ‘스타게이트’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메타 역시 800조원대의 투자 계획을 내놨다"며 "AI 투자는 더 이상 빅테크 기업만의 영역이 아니다. 이제는 각국 정부가 직접 경쟁적으로 AI 인프라를 구축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AI 수요 폭발, 공급 따라가기 어려워"
최 회장은 "AI 수요는 폭발적으로 늘어나지만, 공급은 이를 따라가기 어렵다"며 "GPU, 전력, 메모리 등 모든 요소에서 병목현상(bottleneck)이 발생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특히 메모리 대역폭(Memory Bandwidth)이 가장 큰 제약으로, 프로세서가 아무리 빨라져도 메모리가 받쳐주지 못하면 성능을 다 쓸 수 없다"며 "이 병목을 해소할 유일한 해법이 바로 HBM(고대역폭메모리)"이라고 설명했다.
최 회장은 "오픈AI가 SK하이닉스에 월 90만장의 HBM 공급을 요청했다"며 "이는 전 세계 HBM 월 생산량의 두 배 규모"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AI 시장의 핵심 경쟁력이 메모리에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상징적 사례"라고 평가했다.
SK는 이러한 수요 대응을 위해 생산력(capacity)과 기술(technology) 양면에서 투자를 확대한다. 최 회장은 용인클러스터에는 커다란 팹이 4개 들어가는데 1개의 거대한 팹에는 청주 M15X 팹 6개가 들어갈 수 있는 규모"라며 "용인 클러스터가 다 완성이 되면 24개의 청주 M15X 팹이 동시에 들어가는 셈"이라고 밝혔다.
또 "AI 연산 구조에 맞게 처음부터 다르게 설계된 AI 데이터센터를 구축 중"이라며 "가산에 국내 최초 블랙웰 200기반 AI 클러스터를 만들었고, 울산에는 1기가와트급 AI 데이터센터를 2027년 완공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그는 "AWS와 100메가와트 규모 계약을 체결했고, 오픈AI와도 서남권 지역에서 새로운 형태의 미래형 데이터센터를 함께 구축할 예정"이라며 "이 모든 것은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인프라 전략의 일환"이라고 설명했다.

"AI로 AI를 만든다···엔비디아와 제조 AI 협력"
최 회장은 "AI 생태계의 수요를 따라가기 위해서는 AI 자체로 생산 효율을 높이는 접근이 필요하다"며 "AI를 메모리칩 생산과 데이터센터 운영에 직접 적용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최근 엔비디아와 협력해 ‘매뉴팩처링 AI(Manufacturing AI)’를 본격적으로 추진하고 있다"며 "엔비디아의 ‘옴니버스(Omniverse)’ 플랫폼을 활용해 디지털 트윈 기반의 가상 공장을 만들고, SK하이닉스 생산공정을 완전 자율화된 ‘오토노머스 팩토리(Autonomous Factory)’로 발전시킬 것"이라고 말했다.
최 회장은 "AI를 활용해 생산 효율과 스피드를 높이면 엔비디아는 더 많은 칩을 확보할 수 있고, 우리는 생산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며 "서로에게 윈윈이 되는 구조"라고 설명했다.
강연 말미에서 최 회장은 "지금까지 말씀드린 모든 얘기는 SK 혼자 할 수 있는 게 아니다"며 "우리는 파트너와 경쟁하지 않고, 함께 솔루션을 설계하고 개발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SK는 국내외 기업은 물론 스타트업과 정부까지 포괄한 파트너십으로 AI 사업 기회를 만들어낼 것"이라며 "가장 효율적인 AI 솔루션을 찾는 여정에 여러분 모두가 함께하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 엔비디아 26만장 GPU, 어디에 어떻게 쓰일까?
- SK그룹 ‘제조 AI 클라우드’ 구축···최태원 "엔비디아 AI 팩토리 기반 인프라 구축"
- 최태원 "경주는 천년 전 동양의 실리콘밸리··3B 주제로 위기 극복 해법 모색"
- 경주서 ‘APEC CEO 서밋’ 개막
- 최태원 회장 "AI는 세계 질서 새로 짜는 변곡점. 글로벌 협력 必"
- 'SK AI 서밋'서 정재헌 SK텔레콤 CEO, 첫 공식 일정···"AI 인프라로 韓 글로벌 허브 만들겠다"
- [현장] 곽노정 대표 "SK하이닉스, 풀스택 AI 메모리 크리에이터로 진화할 것"
- T1, 롤드컵 3연패···이재명 대통령·최태원 회장 "역사적 쾌거" 축하
- SK네트웍스, 3분기 ·영업이익 223억원···신제품 비용에 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