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세제 개편 여파에도 국제 금값 4000달러선 유지
국내선 개인 매수세 급증

| 스마트에프엔 = 정윤호 기자 | 국제 금값이 중국의 세제 개편 여파 속에서도 온스당 4000달러 선을 지키는 가운데 국내에서는 개인 투자자들의 ‘저점 매수’가 이어지며 골드뱅킹 잔액이 올해 최고치를 경신했다. 고점 대비 15~20%가량 조정을 받았지만 장기 상승세에 대한 기대는 여전히 강하게 나타나고 있다.
6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달 31일 KRX 금시장에서 순금 1g 가격은 18만8750원으로 마감했다. 지난달 15일 기록한 역대 최고가 22만7000원보다 약 16% 하락한 수준이다. 전날 종가 기준으로는 18만9770원을 기록하며 전 거래일 대비 0.12%(220원) 내렸다.
금값 하락은 미·중 정상의 무역 완화 합의로 글로벌 불확실성이 다소 완화되면서 안전자산 선호 심리가 줄어든 영향이 컸다. 그러나 개인 투자자들은 되레 가격 조정을 매수 기회로 삼고 있다. KB국민·신한·우리은행의 골드뱅킹 잔액은 지난달 말 1조6203억원으로 전월(1조4171억원) 대비 2032억원 증가하며 올 들어 최대 폭으로 늘었다.
신한은행의 ‘골드리슈’ 계좌 수는 18만4991좌로 전달보다 6652좌 증가했고 이달 들어서도 18만5179좌로 빠른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다. 하나은행의 ‘하나골드신탁’ 상품은 5회차 판매분(40억원 한도)이 반나절 만에 완판되며 추가 판매를 예고했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환율 변동성이 줄어도 실물 금 수요는 꾸준하다”며 “단기 반등 혹은 장기 상승을 기대한 매수세가 이어지고 있다”고 전했다.
앞서 3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싱가포르 금 현물 시장에서 금 가격은 장중 한때 온스당 3960달러(약 567만원)까지 하락했으나 이후 4020달러(약 580만원)대 중반으로 회복했다. 중국 정부가 지난달 31일부터 일부 금 소매업체에 대한 부가가치세 공제를 중단하면서 비(非)투자용 금 제품의 공제율이 13%에서 6%로 낮아진 영향이다.
이 조치는 2027년 말까지 한시 적용되며 중국 내 주얼리·공예 업계는 즉각적인 소비 위축을 우려하고 있다. 홍콩 증시에서 주대복 주얼리는 장중 12% 가까이, 라오푸 골드는 9% 이상 하락했다. 불리온 볼트의 아드리안 애쉬 리서치팀장은 “중국의 금 수요는 금값 상승의 핵심 요인은 아니었지만 세계 최대 소비국의 세제 개편이 투자심리를 약화시킬 수 있다”고 분석했다.
그럼에도 국제 금값은 지난달 돌파한 온스당 4000달러 선을 유지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미국 연방준비제도의 금리 인하 가능성과 달러 약세, 글로벌 지정학 리스크 확대, 각국 중앙은행의 금 매입 증가 등을 주요 지지 요인으로 꼽았다.
시장 전망은 엇갈린다. 영국 캐피털이코노믹스는 내년 말 금값이 온스당 3500달러 수준으로 하락할 것으로 내다본 반면 뱅크오브아메리카는 일시적 조정 이후 내년 5000달러까지 반등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국내 금융권 관계자는 “금은 인플레이션과 지정학 리스크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자산”이라며 “단기 급등 이후 조정 구간에 진입했지만 장기 상승세 기대가 여전하며 다만 변동성이 큰 만큼 포트폴리오 내 분산투자 수단으로 접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