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칼럼] 테슬라에 대한 '엇갈린 명암'

국내 전기차 시장 장악한 ‘테슬라’…‘사회공헌 전무하고 보조금만 꼴깍’
온라인뉴스 기자 2021-02-01 10:11:16
김필수 대린대학교 교수
김필수 대린대학교 교수

테슬라는 혁신의 아이콘으로 불린다. 이는 최근 치솟는 테슬라의 주가가 입증했다. 글로벌 제작사 5개가 모여야 테슬라 주가와 견줄 수 있을 정도다.

테슬라는 지난 2019년부터 흑자로 돌아서면서 전기차 대표 브랜드로 자리매김했다. 그 만큼 테슬라의 동정은 업계로부터 주목받게 됐다.

실제 지난해 국내 전기차 시장에서 테슬라 모델3는 약 1만2000대 정도가 판매되면서 국내 시장에서 선풍적인 존재감을 드러냈다.

이에 대해 국내에서는 전기차에 지급되는 보조금 상당 부분이 해외기업으로 새나가는 웃지못할 현상에 대해 우려의 목소리를 내기 시작했다.

전기차 보조금에 대한 지원은 올해도 6000~9000만원을 기준으로 정부에서 보조금을 차등 지급하는 정책을 펼칠 것으로 보인다.

물론 전기차 보조금은 국내 뿐 아니라 이미 여러 국가에서 지급하고 있는 다국적 정책 중 하나다.

테슬라는 이 같은 전기차 보조금 정책에 힘입어 승승장구하고 있으며 모델3의 경우 없어서 못 팔정도고 모델Y나 사이버트럭 역시 시장성장에 동참하고 있다.

지난해 전 세계 전기차 판매 중 테슬라는 20%의 점유율을 차지하며 최대 전기차 기업이 됐다. 연간 생산도 50만대를 넘어섰다.

실제 소비자들 사이에서는 테슬라 차량을 가리켜 △움직이는 생활공간 △움직이는 가전제품 △바퀴달린 휴대폰으로 불리고 있다.

다만 아직 불완전한 자율주행 기능 '오토 파일럿'에 대한 소비자들의 과도한 믿음 탓에 무리한 불법 운행으로 전세계에서 잇따른 사고로 사망자가 발생하는 등의 부작용은 우려되는 부분이다.

판매방법도 독특하다. 글로벌 시장에서 신차 판매는 중간에 딜러라는 중간층을 중심으로 판매 되고 애프터 서비스 등 다양한 시스템으로 이루어져 있지만 테슬라의 경우 중간 딜러가 없고 본사에 온라인으로 신청하면 생산자와 소비자가 직접 이어지는 구조로 판매되고 있다.

국내에 있는 각 지점 역시 자동차를 판매하는 딜러가 아닌 차량을 직접 보고 시승을 할 수 있는 시승센터 개념이라 할 수 있다. 이처럼 테슬라는 혁신적이고 앞을 미리 내다보는 글로벌 기업의 대표 주자다.

다만 이런 시스템 이면에는 기업을 외부에서 들여다 보는데 한계가 있고 소비자를 위한 정보 공개에 대한 노출이 적어 우려를 낳고 있다. 적극적으로 미디어를 활용하고 대처하기보다 무시로 응대하는 경우도 비일비재하다.

이에 대부분의 언론들이 불만을 갖고 있고 이는 곧 소비자의 알권리를 무시한 것으로 나타나면서 기업의 책임의식 중 하나인 기업공개에 적극나서야 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타 기업 대비 높은 시장점유율 대비 사회 공헌활동이 거의 없다는 부분도 구설에 오르고 있다.

특히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국내 전기차 시장의 독점은 물론이고 일반 내연기관차 업체까지 포함해도 순위가 높은 적지 않은 실적으로 상당한 수익을 확보한 테슬라지만 국내에서의 사회적 기여나 각종 봉사활동 등이 거의 없.

이 외에도 지난해 테슬라의 프리미엄 모델인 모델X에서 원인모를 화재가 발생해 탑승자가 사망하는 안타까운 사고도 발생했다.

당시 사고로 테슬라 차량의 특징 중 하나인 팰컨도어와 히든 도어캐치에 대해 사전에 소방청에 구난구조 메뉴얼 제공을 하지 않은 것도 골든타임을 놓친 원인으로 지적됐다.

지난해 볼보가 신형차량 10여대를 30m 높이에서 고의 낙하를 하며 구난구조메뉴얼을 제작한 것과 비교되는 부분이다.

테슬라 등 전기차의 경우 기계적인 장치를 배제한 전자장치로 이뤄진 일종의 거대한 가전제품과 같아서 사고발생시 전기가 셧다운되면 비상조치 자체가 안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당시 사고의 배경에는 한미FTA도 한 몫했다. 현행 한미FTA에 따르면 미국에서 수입되는 5만대 미만의 자동차의 경우 안전기준 등이 미국에 준하는 기준으로 고려되면서 생략된다.

따라서 미국과 달리 국내 실정에 준하는 안전장치 등이 생략될 수 있다. 이에 국토부 등 관계당국에서는 국민의 안전에 문제가 되지 않도록 명심해 주길 바란다.

또 다른 문제는 지난해 판매가 급성장한 것 대비 정비센터의 구축도 반드시 이뤄져야 한다. 하지만 테슬라는 판매에는 적극 대응하고 사후관리에는 지극히 소극적으로 대처하고 있다.

물론 이에 대한 방안도 언론을 통해 나온바 없다. 그냥 앞으로 얼마를 더 팔겠다는 목표만 있어 보인다.

필자는 이에 테슬라 차량을 구할 때에는 서비스망 등을 확실히 확인하고 자칫 제품만 팔고 떠나버려 소비자만 골탕먹는 일에 대비할 필요성도 있다.

테슬라는 한국 소비자에 대한 적극적인 조치와 사회적 기업의 이행을 다하는 자세를 갖길 바란다. 정부도 테슬라 소비자와 기업에 대한 보다 많은 관심을 촉구하는 바다.



김필수 대림대 교수 autoculture7@naver.com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