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물가 여파로 올해 차례상 비용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통시장을 이용하면 약 22만4000원, 대형마트는 약 25만8000원이 웃돌 것으로 보인다.
서울시농수산식품공사는 이달 13일 시내 전통시장 16곳, 대형마트 8곳, 가락시장 내 가락몰 등 유통업체 총 25곳을 대상으로 차례상 차림 비용을 조사했다. 조사 방식은 6∼7인 가족 기준으로 34개 주요 성수 품목 가격을 비교했다.
전통시장 구매비용은 22만4040원으로 대형마트(25만8854원)보다 3만4814원(13.4%) 가격이 저렴했다. 이는 지난해와 비교 시 전통시장 비용은 1.0%, 대형마트 비용은 2.5% 오른 비용이다.

다만 직전 명절 지난해 추석과 비교하면 저렴한 수준이다. 지난해 추석의 경우 전통시장 기준 4인 가족 기준 추석 차례 상 비용이 28만790원이었으며 대형마트는 35만6950원이었다.
구체적으로 대형마트가 전통시장 보다 과일(배·곶감), 임산물(대추·밤), 나물(고사리·도라지), 채소(시금치·대파·알배기배추), 수산(부세·다시마·동태), 축산(한우 양지·돼지고기·닭고기), 가공식품(두부·맛살·약과)이 가격이 비쌌으며
과일(사과), 채소(무), 축산(한우 우둔살), 양곡(쌀), 가공식품(밀가루·다식·청주·식혜)은 기교적 저렴한 가격에 판매했다.
일부 과일 품목의 경우 생육기 고온으로 낙과·열과 현상이 발생해 생산량이 줄면서 가격이 비싸졌으며 채소 역시 일부 품목이 이상기후로 인해 가격이 오를 것으로 모인다.
축산물은 수급이 안정돼 작년보다 시세가 소폭 오를 전망이다. 수산물은 정부 비축 물량 방출 등으로 설 성수기 공급은 비교적 안정적일 것으로 보인다.
물가가 오르자 정부에서는 물가 안정을 위해 대책 마련에 나서고 있다. 우선 배추와 무를 직수입한다. 배추와 무를 직수입하는 등 할당관세 물량 2만2000t을 시장에 공급할 예정이며 설 연휴 기간 동안 사과와 배, 배추, 무 등 16대 성수품이 26만500t이 공급될 예정이다.
생산자 물가도 올랐다. 지난 21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지난해 12월 생산자물가지수는 11월(119.10)대비 0.3% 오른 119.51(2020년 수준 100)로 조사됐다. 이는 지난해 11월 (0.1%) 넉 달 만에 반등한 이후 연속 상승한 수준이다. 지난달 오름폭은 지난해 7월(0.3%) 이후 다섯 달 만에 가장 크다.
직전 원 대비 등락률을 품목별로 살펴봤을 때 농림수산품은 2.8% 증가했으며 작황 부진으로 농산물은 3.4% 상승했다. 또 축산물은 3.7%증가했다. 이는 연말 수요 증가, 공급 부족 탓이다.
세부 품목 중에는 감귤(22.6%), 무(22.0%), 닭고기(14.3%)가 상승했으며 물오징어는 28.1% 하락했다. 국내 출하에 수출품까지 포함한 12월 총산출물가지수는 0.8% 높아졌고 농림수산품이 2.8%, 공산품이 1.0% 상승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