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 2024년 12월 및 산업활동 동향 3일 발표, 전산업생산 지수 증가
광공업·서비스·제조업 생산 증가, 동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는 동일
지난해 반도체 수출 회복 등 영향으로 산업생산이 전년보다 증가 폭을 키우며 호조세를 보였다. 하지만 서비스 생산, 소매판매, 건설 등 내수 지표 등은 모두 부진해 부문별 온도 차가 더 커진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이 3일 발표한 '2024년 12월 및 연간 산업활동 동향'에 따르면 작년 전산업생산 지수는 113.6으로 전년보다 1.7% 증가했다. 작년 반도체 중심의 수출 회복 등 영향으로 전년보다 증가 폭이 확대된 것이다.
작년 12월에도 산업생산은 늘었지만 12·3 비상계엄 사태 등 영향으로 소매판매는 감소했다. 4분기 전산업생산은 0.4% 증가폭을 기록했다. 한국은행이 지난달 발표한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인 0.1%보다 높고 한은의 전망치보다는 다소 낮다.

전체 산업생산이나 호조세를 견인한 것은 광공업 생산이다. 광공업은 4.1% 증가했다. 전기장비·1차금속 등에서 줄었지만 반도체·의약품 등에서 늘었다. 광공업 출하는 최근 부진한 내수 상황을 반영하듯 수출에서 4.0% 늘었지만 내수는 2.0% 감소하는 차이를 보였다.
제조업 생산은 반도체 업황 부진으로 지난 2023년에 2.6% 감소했으나 작년에 4.4% 늘며 증가세로 전환했다.
서비스 소비가 반영된 서비스 생산은 작년 1.4% 증가했다. 증가 폭이 전년의 절반 이하로 줄어들며 코로나19 사태가 있던 지난 2020년 이후 4년 만에 최소 폭을 기록했다. 산업별로는 도소매등에서 줄었지만 운수·창고, 금융·보험 등에서 증가했다.
재화 소비를 뜻하는 소비판매액은 2.2% 줄었다. 신용카드 대란 사태가 있던 2003년 이후 21년 만에 최대 폭 감소다. 소매판매액은 지난 2022년 이후 3년 연속 줄며 감소 폭도 커지는 모습이다. 1995년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최장 감소다.
소비재별로 보면 ▲승용차 등 내구재 ▲음식료품등 비내구재 ▲의복 등 준내구재에서 모두 판매가 줄어든 것으로 분석됐다. 설비투자는 반도체제조용기계 등 기계류와 운송장비 등에서 모두 늘어 4.1% 늘었다.
건설기성은 토목에서 늘었지만 건축에서 공사실적이 줄어 4.9% 감소했다. 2021년 이후 최대 폭 감소다. 지난해 건설업 불황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다만 건설수주는 토목에서 줄었지만 주택 등 건축에서 늘어 전반적으로는 7.2% 증가했다.
서비스업 생산은 1.7% 늘었다. 금융·보험, 도소매 등에서 증가세를 보였지만 숙박·음식점, 예술·스포츠·여가 관련 서비스업 등에서는 감소했다. 숙박·음식점 생산은 2022년 2월 이후 가장 큰 폭으로 줄었다.
소매판매는 비내구재에서 늘었지만, 내구재·준내구재 등에서 줄어 0.6%감소했다. 내수 부진 장기화로 작년 9월 이후 넉 달째 반등하지 못하고 있다.
이어 설비투자는 운송장비 등에서 늘어 9.9% 늘었다. 7개월째 마이너스였던 건설기성은 건축 등에서 증가하며 전달보다 1.3% 늘었다.

현재 경기 상황을 보여주는 동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는 전달과 같았다. 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작년 3월 이후 전달 대비 하락·보합 등을 반복하며 반등하지 못하고 있다.
향후 경기를 예고하는 선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는 전달보다 0.2p 하락했다. 공미숙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생산 부분은 괜찮은데 지출이 따라가지 못하는 흐름이 이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