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 중재에 나선 미국 등 3국이 18일(현지시간) 에너지 및 인프라 시설에 대한 상호 공격을 30일간 중단하는 부분적 휴전안 추진에 원칙적인 뜻을 같이했다.
러시아가 우크라이나에 대한 미국 등 서방의 무기 및 정보 지원 중단을 요구하고 나선 상황에서 양측이 부분적 휴전의 세부 사항에 합의한다면 전면 개전 이후 3년 이상 경과한 전쟁에서 평화를 도출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이날 장시간 통화를 진행했다고 연합뉴스가 보도했다. 크렘린궁은 우크라이나가 30일간 에너지 인프라 시설에 대한 공격을 중단하는 데 합의했다고 밝혔다.
크렘린궁은 또 트럼프 대통령이 30일간 에너지 및 인프라 시설에 대한 공격을 서로 중단할 것을 제안했고, 푸틴 대통령은 이를 긍정적으로 반응해 군에 즉각 에너지 인프라에 대한 공격 중단 명령을 내렸다고 전했다.

다만 문제될 것은 트럼프 대통령이 당초 제안한 '30일간 전면 휴전안'에 대해 푸틴 대통령은 휴전을 효과적으로 통제하는 문제와, 우크라이나의 동원 및 재무장 가능성에 대한 우려다. 러시아가 트럼프 대통령의 당초 제안인 '30일 전면 휴전'을 거부했으나 트럼프 대통령의 '수정 제안'은 수용했다는 의미다.
백악관은 이에 대해 보도자료를 통해 두 정상이 에너지 및 인프라 분야 휴전에 합의하는 한편, '흑해 해상에서의 휴전 이행과 전면적 휴전 및 영구 평화에 관한 기술적인 협상'을 중동에서 즉시 시작하기로 합의했다고 전달했다.
러시아는 '에너지 인프라에 대한 휴전'이라고 언급하면서도 미국에 대해 '에너지와 인프라에 대한 휴전'이라고 밝혀 휴전 대상에서 다른 의견을 표했다.
해석하면 러시아는 정유시설과 송유관 등 에너지와 관련된 인프라에 대한 공격 중단을, 미국은 그뿐 아니라 다른 인프라 시설도 휴전 대상에 포함된다는 인식을 드러낸 것이다.
변수는 푸틴 대통령이 트럼프 대통령과 통화 시 서방의 대우크라이나 지원 중단을 요구하고 나섬에 따라 그것이 휴전안 합의에 문제가 될 수 있는 것도 주목해야 될 부분이다.
이에 젤렌스키 대통령은 "우리의 파트너들은 우크라이나에 대한 군사 지원 중단에 동의하지 않을 것이며 지원이 계속되길 희망한다"고 밝혔다.
독일과 프랑스는 일단 미러 정상의 합의 내용을 환영하는 입장이지만 우크라이나를 지원해온 유럽의 핵심 국가인 만큼 우크라이나의 의견이 반영돼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한편, 이번 통화에서 푸틴 대통령은 오는 19일 러시아와 우크라이나가 175명씩 포로를 교환할 예정이라고 트럼프 대통령에게 전달했다. 또 두 정상이 주로 핵무기를 의미하는 '전략무기' 비확산 관련 협상에 대해서도 의견을 나눴다.
백악관은 전략 무기 확산을 중단시킬 필요성에 대해 논의했으며, 전략 무기 확산 중단을 최대한 넓게 적용키 위해 다른 당사자들과 관여하기로 했다고 전달했다.
이들은 트럼프 대통령 취임 이후 개선 흐름을 타고 있는 미·러 관계 개선에 대해서도 같은 뜻을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