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토지거래허가구역(토허제)이 해제됐다가 확대 재지정된 39일 사이 잠삼대청(잠실·삼성·대치·청담동)을 중심으로 거래량이 껑충 뛴 것으로 나타났다.

7일 직방이 토허제 해제 직후인 2월13일부터 재지정 직전 3월23일까지 대상지역의 거래 데이터를 살펴본 결과, 지난 4일 기준 서울 전체 매매 거래량은 9665건으로 집계됐다.

서울 잠실 일대 아파트 전경./사진=연합뉴스 
서울 잠실 일대 아파트 전경./사진=연합뉴스 

이는 해제발표 직전 지난 1월4일부터 2월11일까지 39일간의 거래량(4559건) 대비 약 2.1배가량 많은 수치다. 같은 기간 규제지역 내 아파트 매매 거래량은 총 353건으로, 해제 직전 99건과 비교해 3.6배 늘어난 수치다.

신고가 경신 거래도 증가했다.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발표 직전 39일, 13건이었던 잠.삼.대.청 신고가 거래 사례는 해제 이후 84건으로 약 6.5배 늘었다. 이는 같은 기간 전체 서울 전체 신고가 경신 케이스가 362건에서 839건으로 2.3배가량 늘어난 것에 비해 두드러진 수치다.  

규제 해제 대상 지역 내에서는 잠실동의 거래가 가장 많았다. 39일 동안 잠실동은 총 135건의 아파트가 거래됐다. 세부 단지로는 리센츠가 38건, 잠실엘스가 34건, 트리지움이 30건으로 많았다.

소위 ‘잠실 3대장’으로 불리는 엘, 리, 트 단지는 대규모 단지 구성과 우수한 교통망, 편리한 생활 인프라를 갖추고 있어 실수요자와 투자자 모두에게 높은 선호도를 보인다.

여기에 학군 및 인근 개발 호재까지 더해지면서 시장에서의 입지가 더욱 견고해지고 있다. 3개 단지 총 규모가 1만5000가구에 육박해 거래량도 많고 서울 아파트 거래시장의 선행지표로 역할을 하는 만큼 이번 규제 해제 직후 매수세가 집중된 것으로 보인다.

뒤이어 삼성동이 86건, 대치동이 71건, 청담동이 61건 순으로 많았다. 삼성동은 삼성동힐스테이트1단지가 16건, 대치동은 대치현대 10건, 청담동은 청담자이 11건 등 순으로 거래됐다.

규제 대상이 아니었던 지역 거래량은 ▲강남구(규제해제대상 제외) 676건 ▲강동구 652건 ▲송파구(규제해제대상 제외) 652건 ▲성동구 637건 순으로 나타났다.

강남구는 규제 대상 3개 동이 포함됐고 개포, 도곡, 역삼동 일대는 학군, 교통, 생활 인프라 등 주거 선호 요소를 고루 갖춘 지역으로 평가받는다.

이에 따라 신축과 구축을 가리지 않고 수요가 꾸준히 유입되며, 최근에도 해당 지역에서 상대적으로 많은 거래가 이뤄졌다. 동별로는 개포동 131건, 도곡동 122건, 역삼동 116건 등에서 거래가 많이 됐다. 개포동에서 개포래미안포레스트가 23건, 래미안블레스티지 21건, 도곡동은 도곡렉슬 25건 경남 13건이, 역삼동은 역삼래미안과 테헤란아이파크가 각각 17건, 13건씩 거래됐다.

강남구 뒤로는 강동구, 송파구 각각 652건 거래되며 뒤를 이었다. 강동구는 준공 10년 이내의 신축 대단지가 많고 강남권역 접근성이 우수해 실수요 및 투자수요의 관심이 집중되는 지역이다. 최근 강남권 집값이 빠르게 오르면서 상대적으로 합리적인 입지와 가격대를 고려한 수요자들이 강동구로 눈을 돌리는 흐름이 나타나고 있다. 

강남 핵심 수요의 직접적인 대체라기 보단 강남 생활권에 준하는 환경을 찾는 실수요자들에게 차선의 선택지로서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래미안힐스테이트고덕이 49건으로 가장 많았고 고덕아르테온 46건, 고덕그라시움 43건 등 신축 단지 위주로 거래가 많았다. 송파구는 잠실동의 거래제한 해제 이후 송파구 전역으로 매수세가 확산됐고 대단지 위주로 거래가 늘었다. 헬리오시티 76건, 파크리오 58건, 올림픽훼밀리타운 31건이 거래됐다.

주단위로 보면 해제 직후 1주일, 총 122건의 아파트가 거래되며 가장 많았고, 이후 주차가 지날수록 66건, 57건, 47건, 26건으로 거래 건수는 다소 감소했다.

정부가 토허제 확대 재지정을 발표한 뒤 나흘 동안 거래량(35건)은 직전주(26건)보다 소폭 늘었다.

직방은 "단기적으로는 관망세가 이어질 가능성이 크지만, 상급지를 중심으로 선별적인 상승 흐름이 나타날 여지도 있다"며 "이번 조정이 일시적인 숨 고르기에 그칠지, 아니면 추세적 전환으로 이어질지는 좀 더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분석했다.

저작권자 © 스마트에프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