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엔비디아의 저사양 인공지능(AI) 칩인 'H20'의 중국 수출을 제한했다. 제 2의 중국산 AI 딥시크를 막고, 트럼프 행정부의 대 중국 관세 압박을 강화하는 차원이 조치로 보인다.
이번 조치로 엔비디아는 수조 원의 타격을 입게 된다. H20은 엔비디아의 저사양 AI 칩으로 사실상 중국향 제품인데, 실제로 중국으로부터 대량 주문을 받아왔던 물량이 사라질 위기에 처했기 때문이다.

15일(현지시간) 엔비디아는 지난 9일 미 정부로부터 H20 칩을 중국 수출 시 당국의 허가가 필요하다는 통보를 받았다고 밝혔다. 또 14일에는 이 규제가 무기한 적용될 것이라는 통지를 받았다고 전했다.
엔비디아는 H20 칩이 중국의 슈퍼컴퓨터에 사용되거나 전용될 수 있다는 우려를 미 정부가 새 규제의 근거로 들었다고 설명했다.
H20 칩은 엔비디아의 고사양 AI칩 보다 연산 능력은 낮지만, 고속 메모리 및 기타 칩과의 연결성이 뛰어나 슈퍼컴퓨터를 만드는 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H20 칩은 미국이 안보를 이유로 최첨단 반도체의 중국 수출을 규제한 이후, 엔비디아가 사양을 낮춰서 중국에 합법적으로 제공해 왔었다.
엔비디아의 최신 AI 칩 블랙웰보다 성능은 낮지만, 블랙웰에서 사용되는 고대역폭 메모리(HBM)를 장착돼 일부 성능이 개선됐다. 중국 AI 스타트업 딥시크가 지난 1월 저가형 우수 AI 모델을 선보이며 주목받았다. H20은 딥시크가 AI 모델 학습에 사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수출 제한 조치로 엔비디아는 회계연도 1분기(2∼4월)에 55억 달러(7조8567억원)의 손실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앞서 정보기술(IT) 전문 매체 디인포메이션은 알리바바와 텐센트, 바이트댄스 등 중국 기술 대기업이 올해 1∼3월 H20 칩을 160억 달러(22조8000억원) 이상 주문했다고 보도한 바 있다.
이는 지난 분기보다 40% 웃도는 규모로, H20 칩에 대한 수출 규제를 앞두고 주문이 급증했다. 엔비디아의 수조원대의 비용 발생은 이 같은 막대한 주문량을 사실상 공급하지 못한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미 정부는 2022년 10월 엔비디아를 비롯한 AI 칩 제조업체들의 중국 수출을 처음 제한한 데 이어 그 대상과 국가를 확대해 오고 있다고 연합뉴스가 보도했다.
이에 이날 뉴욕 증시 정규장에서 1.3% 상승했던 엔비디아 주가는 시간 외 거래에서 6.3% 하락했다.

앞서 지난 9일 미 공영방송 NPR은 트럼프 행정부가 H20 칩에 대해 중국 수출을 제한하려던 계획을 철회했다고 보도한 바 있다.
이는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 젠슨 황이 지난주 트럼프 대통령의 사저가 있는 마러라고 만찬에 참석한 이후로, 황 CEO가 이 만찬에서 미국 내 AI 데이터 센터에 대한 새로운 투자를 약속한 뒤 방침이 변경됐다고 이 매체는 전했다.
엔비디아는 지난 14일 미국에서 슈퍼컴퓨터를 생산하는 등 향후 4년간 파트너사들과 최대 5천억 달러(약 700조원) 규모의 AI 인프라를 생산할 계획이라고 발표한 바 있다.
- 트럼프 "공은 중국 코트에 있다"…중국에 '고개 숙여라' 주문
- 트럼프, 車부품 관세 추가 면제…포드·GM·애플 등 美 회사 '보호'
- '전자제품 관세 면제' 없던 일로···트럼프, 中에 굴복 논란에 "면제 아니다"
- 최상목, 내주 美재무장관 만나 통상현안 논의 예정
- 中, 美 입항료 부과 결정에 강한 반발 "모두에 해 끼쳐…필요한 조처할 것"
- SK하이닉스 “AI·DT 기반 스마트팩토리로 HBM 기술력 높일 것”
- SK하이닉스, CXL 2.0 기반 96GB DDR5 고객 인증 완료
- SK하이닉스, 1분기 영업익 7.4조···'어닝 서프라이즈'
- "딥시크, 韓 개인정보 中 업체에 무단이전"
- SK하이닉스, HBM 성장세로 트럼프발 불확실성 정면 돌파
- 삼성전자, 2분기 엔비디아 HBM3E 납품할까? "주요 고객사 샘플 공급"
- 지분만으로도 실질적 지배?···中 텐센트, 인수 없이 韓 산업 잠식 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