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식 압박 지속 가능···日 시나리오 대비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한미 통상협상에서 실익을 최우선으로 하겠다고 밝히며, 자동차·반도체 관세 철폐를 위한 총력전을 선언했다. 그는 "섣부른 타결보다 신중한 접근이 중요하다"며 전략적 협상 의지를 분명히 했다.
안 장관은 20일 KBS 일요진단에 출연,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 기조가 아직 끝난 게 아니며, 향후에도 이슈가 지속될 가능성이 있다. 협상틀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이 협상 테이블에 앉을 가능성도 열어두고 "일본과 유사한 시나리오에 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미국이 한국, 일본 등 5개 국을 우선 협상 대상국으로 지정한 점과 관련해 "협의는 급한 쪽이 수용 여지가 많다"며 "조선, 에너지 산업 등 경제 비전을 제시하고 미국이 우려하는 무역 불균형 문제에 실질적으로 대응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방위비 분담 문제가 통상 협상에 연계될 수 있다는 우려에 대해선 "미국에서 의제를 제기한 바는 없지만, 논의가 시작되면 관계 부처와 긴밀히 조율해 대응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국이 미국 알래스카 LNG 프로젝트에 참여할 가능성에 대해 "에너지 안보 차원에서 접근 중이나, 미국의 계획이 구체적이지 않아 신중한 검토가 필요하다. 현지 실사 등 사전 조사가 선행돼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일본, 대만, 태국, 베트남도 사업에 관심을 보이고 있어 아시아 국가들이 공동 추진할 경우 우리에게도 유리한 기회가 될 수 있다"고 전망했다.
관련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