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계를 상대로 '관세' 압박을 하고 있는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상무부 장관과 우리나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첫 회동을 했다. 이 자리에서 조선업 분야에서도 대 중국 압박을 높이고 있는 미국이 국내 조선업 분야와의 협력 등에 대해 실무적인 이야기를 나눈 것으로 전해진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7일(현지시간) 안덕근 장관이 워싱턴 DC 미국 상무부 회의실에서 하워드 러트닉 상무부 장관과 면담해 미국 측에 관세 조치 면제를 요청했다고 28일 밝혔다.

특히 이날 협의해서 안 장관과 러트닉 장관은 양국 조선 협력에 관해 논의했다. 또한 관세 조치에 관한 실무 협의 채널을 구축하기로 합의했다고 산업부가 전했다. 약 1시간 정도 진행된 회담은 우호적인 분위기였다고 산업부는 설명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한미 간 자유무역협정(FTA)을 무시하고, 우리나라에도 예외없이 25%의 관세를 부과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우리나라의 양대 수출 품목인 반도체와 자동차가 제일 큰 타격을 입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철강·알루미늄 관세의 경우에는 쿼터(할당량) 안에서 무관세 수출을 해왔지만 3월부터는 미국의 새로운 관세를 부과 받게 됐다.
이날 협의에서 러트닉 장관은 트럼프식 관세 정책에 따라 자국 무역적자 해소 필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한국이 이에 대해 협력하기를 바란다면서도, 대 한국 관세 계획을 구체적으로 언급하지는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안 장관은 미국산 가스·원유 등 에너지 수입 확대 등을 통해 한국이 대미 무역수지 균형을 추구하고자 한다는 뜻을 전달했고, 미국의 무역적자 해소 관심사에 호응했다고 산업부는 설명했다.

한미 '조선 산업' 협력 추진
특히 '조선 산업'을 중심으로 한 양국의 산업 협력 의제에서 우호적인 분위기에서 대화를 나눈 것으로 전해졌다.
이는 트럼프 행정부가 중국 선사·선박에 대해 과도한 해상 운송 서비스 수수료를 부과하는 것을 추진하고 있어, 국내 조선업에 반사 이익이 예상되는 상황에서 나온 것이라 관심이 주목된다.
미국 무역대표부(USTR)의 추진안은 중국 선사의 선박, 그리고 중국에서 제작한 선박을 쓰는 선사에 대해 미국 항구에 입항할 때마다 선박당 최대 100만달러(약 14억원) 또는 선박 용적물에 t당 최대 1000달러(약 143만원)의 수수료를 부과하는 내용 등을 담고 있다. 이 때문에 한국과 일본 조선업이 혜택을 받게 된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안 장관은 트럼프 대통령이 직접 관심을 표명한 한미 조선 협력을 구체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한국 정부가 범정부 태스크포스(TF)를 꾸려 민관 차원의 체계적 협력 준비에 나설 준비가 됐다는 뜻을 전달했다. 이에 러트닉 장관도 호응하면서 양측이 조선 협력을 구체화할 실무 채널 구축으로 이어진 것으로 보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