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상호관세 유예 조치와 새 정부 경제정책에 대한 기대감이 맞물리며 소비자 심리가 4년 7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27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5월 소비자동향조사’에 따르면 이달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101.8로, 전달(93.8) 대비 8.0포인트(p) 상승했다. 이는 2020년 10월(+12.3p) 이후 가장 큰 상승 폭이며, 지난해 10월(101.8) 이후 7개월 만에 최고 수준이다.
소비자심리지수는 장기평균(2003~2024년, 기준치 100)과 비교해 소비 심리를 나타내는 지표로, 100을 넘으면 낙관적, 밑돌면 비관적으로 해석된다.

이번 달 CCSI를 구성하는 6개 지수 모두 상승세를 보였다. 특히 향후경기전망(91·+18p)과 현재경기판단(63·+11p)이 두드러졌으며, 생활형편전망(97·+5p), 현재생활형편(90·+3p), 가계수입전망(99·+3p), 소비지출전망(108·+3p)도 동반 상승했다.
추경 통과와 미국의 관세 유예, 한미 간 통상 협상에 대한 기대가 긍정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부동산 심리도 개선세를 보였다. 5월 주택가격전망지수는 111로, 전월보다 3p 올라 3개월 연속 상승세를 기록했다. 이는 지난해 10월(116)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한편, 향후 1년간 소비자물가 상승률에 대한 기대인플레이션율은 2.6%로 전월 대비 0.2%p 하락했다. 석유류와 농산물 가격 하락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이번 조사는 5월 13일부터 20일까지 전국 2500가구를 대상으로 진행됐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