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는 17일(현지시간) 이란의 '무조건적 항복'을 요구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국가안전보장회의(NSC) 회의 개최에 앞서 사회관계망서비스(SNS) 트루스소셜에 올린 글에서 "우리는 (이란의) 소위 '최고 지도자'가 어디에 숨어 있는지 정확히 알고 있다"며 "그는 쉬운 표적이지만 거기서 안전하다. 우리는 적어도 지금은 그를 제거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그러나 우리는 (이란이) 민간인이나 미국 군인들을 겨냥해 미사일을 쏘는 것은 원하지 않는다"며 "우리의 인내심은 점점 줄어들고 있다"고 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 다른 글에서 "무조건 항복하라!"(UNCONDITIONAL SURRENDER!)며 이란의 항복을 촉구했다.
SNS를 통해 이란에 경고를 한 트럼프 대통령은 이어 백악관 상황실에서 약 1시간 20분간 NSC 회의를 개최해 이란-이스라엘 무력 충돌에 대한 개입 방안을 논의했다.
연합뉴스 보도에 따르면 전날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 참석 일정을 하루 단축해 캐나다에서 급거 귀국한 트럼프 대통령은 이스라엘에 벙커버스터 등 결정적 무기 공급을 하거나 공습에 동참하는 등 방식으로 이스라엘의 대이란 공격을 지원할지 여부를 검토한 것으로 보인다.
CNN은 이 사안에 정통한 2명의 당국자를 인용하며 "트럼프 대통령이 이란의 핵 시설을 공격하기 위해 미군 자산을 사용하는 데 점점 긍정적으로 바뀌고 있으며, 외교적 해결에는 시큰둥해지고 있다"고 보도했다.
중동 지역 미군 전력을 증강하고 있는 움직임도 일부 포착됐다.
로이터 통신은 미군 당국자를 인용해 미군이 F-16, F-22, F-35 등 전투기와 여타 군용기를 중동에 추가로 배치함으로써 중동 지역에서의 미군 군사력을 증강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전날 또 다른 외신도 미군이 항공모함 니미츠호의 베트남 입항 계획을 취소한 뒤 중동으로 전개하고 있으며, 31대 이상의 공중급유기도 중동 쪽으로 이동시키고 있다고 전했다.
미군 당국은 이번 전투기 등의 증강 배치가 이란의 드론과 미사일 등의 요격과 같은 방어적 성격임을 강조했다. 다만 미국이 이란에 대한 제공권을 장악했다고 선언한 상황에서 공격용으로 전환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 트럼프 조기 귀국에 한미정상회담 무산…"미국 측에서 양해 구해와"
- 이재용의 미래 설계도 ①삼성, 반도체부터 AI까지 새 판 짠다
- 한미 정상회담 불발···트럼프, G7 일정 접고 조기 귀국
- 트럼프 "이스라엘-이란 합의 바라지만 때론 싸움도 필요"
- 이스라엘의 이란 공습에 코스피 2800대로 후퇴···국제유가↑ 증시·코인↓
- 연준, 기준금리 또 동결···4.25~4.50% 유지
- WSJ "트럼프, 이란 공격계획 승인···최종명령은 보류"
- 한국은행 "중동 지정학 리스크 커져···시장 변동성 면밀히 점검"
- 美정부 "이란, 진정성 보이지 않아 타격···원하면 내일이라도 협상 가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