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류 자동화 '차세대 표준' 제시

| 스마트에프엔 = 이장혁 기자 | CJ대한통운이 단순 반복 작업으로 인식돼 온 파렛트 적재 과정을 자동화하며 물류센터 작업환경을 대폭 개선하고, 차세대 자율 운영 물류체계 구축에 속도를 내고 있다.
CJ대한통운은 인천 글로벌물류센터(GDC)에 박스를 자동으로 분류·적재하는 ‘이동형 로봇 팔레타이저’를 도입했다고 17일 밝혔다.
해당 장비는 AI 기반의 비전 기술로 박스의 크기를 실시간 인식해 도착지별로 분류하고, 자동으로 파렛트에 쌓아 올리는 방식이다. 반복적인 허리 숙임과 같은 물리적 부담을 줄이는 동시에, 출고 효율성도 크게 높였다는 평가다.
인천GDC는 아태 8개국 고객의 주문을 처리하는 글로벌 허브 물류센터로, 다양한 국가로 출고되는 물량을 빠르고 정확하게 분류하는 작업이 핵심이다. 이동형 로봇 팔레타이저는 기존 고정형 설비와 달리 한 번에 최대 4개의 파렛트를 동시에 작업할 수 있는 구조로, 하나의 도착지만 처리하던 기존 방식보다 월등한 작업 효율을 구현한다. 실제 인천GDC에서는 현재 1대의 장비가 동시에 2개 도시로 가는 출고작업을 수행하고 있다.
자체 특허 기술도 적용됐다. ‘로터리 구조 자동 버퍼 시스템’을 탑재해 박스가 적재 조건에 맞지 않을 경우 임시 저장 후 가장 효율적인 순서에 따라 적재하는 방식을 도입했다. 이 시스템은 적재율을 극대화하면서도 공간 효율성을 높이는 구조로, 일반 버퍼 시스템 대비 설치 공간과 시스템 복잡도를 크게 줄였다.
이동형 설계 또한 유연성을 높이는 핵심 요소다. 바닥 고정장치 없이도 설비 위치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어, 물류센터 내 다양한 출고 구조나 물량 변화에 따라 유연하게 대응 가능하다.
CJ대한통운은 상용화를 계기로 단순 반복 작업 중심의 물류 업무를 점진적으로 자동화해 작업자 피로도를 줄이고, 전체 물류 프로세스의 생산성을 강화할 방침이다.
구성용 자동화개발담당은 “이커머스시장이 고도화되면서 물류 환경도 빠르게 복잡해지고 있다”며 “CJ대한통운의 검증된 자동화 기술을 국내외 다양한 물류 현장에 적용하고, 현재 건설 중인 사우디 GDC에도 이 같은 초격차 기술 역량을 적극 도입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