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스마트에프엔 = 양대규 기자 | LG디스플레이가 전사적 AI 전환(AX, AI Transformation)을 통해 개발, 제조, 사무 전반에서 눈에 띄는 생산성 혁신을 이끌어내고 있다. 회사는 단순 효율 향상을 넘어, 고부가가치 업무에 집중할 수 있는 환경 조성으로 근본적인 경쟁력 강화를 꾀하고 있다.
5일 LG디스플레이는 AX 온라인 세미나를 개최해 자사의 업무 현장에서 AX로 인한 '생산성 혁신 사례'를 소개했다.

설계 – 1개월 걸리던 이형 패널 설계, 단 8시간 만에
디스플레이 개발에서 특히 난이도가 높은 이형(異形) 패널 엣지 설계는 과거 평균 한 달 이상 걸리던 복잡한 작업이었다. 설계자가 신호 품질 유지를 위해 수많은 보상 패턴을 수작업으로 조정해야 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LG디스플레이는 이를 자동화하는 엣지 설계 AI 알고리즘을 자체 개발, 설계 및 검증 과정을 단 8시간 만에 끝내는 데 성공했다.
광학 설계에서도 AI는 큰 역할을 한다. 색 변화와 밝기 등을 고려한 시뮬레이션을 반복해야 하는 기존 프로세스는 5일 이상 소요됐다. 현재는 AI가 자동으로 최적 설계를 제안하고 검증까지 수행하면서 역시 8시간 만에 완료 가능해졌다.
“AI가 설계 조건에 맞는 최적 디자인을 제안해줘 설계자는 더욱 창의적인 아이디어에 집중할 수 있게 됐습니다.”
설계 AI팀 이희동 팀장
제조 – 품질 개선 3주에서 2일로, 연간 2000억원 절감
OLED 제조 공정에서는 AI 생산 체계가 핵심 역할을 맡는다. 이 시스템은 불량률을 자동 분석하고 원인을 파악해 해결 방안을 제시한다. 과거 숙련 엔지니어도 평균 3주가 걸리던 공정 개선이 이제는 평균 2일로 단축됐다.
특히 AI는 미세 불량을 찾아내는 데 탁월하다. 디스플레이 한 장에는 약 200개의 패널이 있고, 픽셀 수만 300만개에 달한다. 불량 원인이 머리카락 굵기의 100분의 1 수준인 1마이크론 입자이기도 하다. AI는 전날 데이터를 분석해 불량 발생 가능성이 높은 설비를 자동 정지시키고, 조치 방안을 아침에 메일로 전송한다.
“이제는 AI가 ‘감지 → 원인 분석 → 조치’까지 원샷으로 처리하며 매일 수율 개선이 이뤄지고 있습니다.”
제조 AI실 이영주 실장
실제로 OLED 제조 공정에 AI를 도입한 효과로만 2025년 한 해 2천억 원 이상의 비용 절감이 기대되며, 향후 ‘슈퍼 에이전트 AI’로의 진화도 추진 중이다.

사무 – ‘하이디’가 문서부터 회의록까지 자동화
사무 영역에서는 LG디스플레이가 독자 개발한 AI 어시스턴트 ‘하이디(HI-D)’가 중심에 있다. 하이디는 일정 브리핑, 메일 요약, 회의 자료 작성, 회의록 정리, 지식 검색 등 다양한 업무를 자동화하며, 하루 평균 업무 생산성을 10% 이상 향상시켰다.
‘하이디 서치’는 200만 건의 사내 문서를 기반으로 업무 매뉴얼, 시스템 사용법, 용어 해설 등을 검색해주는 기능으로, 사내 지식 접근성을 크게 높였다. 보고서 초안이나 PPT 생성 기능도 올해 하반기부터 도입 예정이다.
“회의 직후, 동시 통역된 내용을 기반으로 자동 회의록이 작성돼 메일로 발송됩니다. 반복 업무는 줄고, 창의적 업무에 더 집중할 수 있게 됩니다.”
EA팀 김도현 책임

LG디스플레이는 AX 혁신으로 3년 내 전사 생산성 30% 향상을 목표로 하고 있다. 자체 AI 개발로 외부 솔루션 도입 대비 연간 100억원 이상의 비용 절감 효과도 보고 있다.
LG디스플레이는 차별화된 AX 역량을 토대로 글로벌 디스플레이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지속적으로 강화해 간다. 이를 통해 차세대 디스플레이 시장을 선도하고 프리미엄 OLED 제품의 글로벌 리더십을 확고히 할 계획이다.
정철동 LG디스플레이 대표이사는 “AX를 전사로 확대 적용하여 체질 개선, 원가 혁신, 수익성 개선 등의 성과가 나타나고 있다”며, “전사 차원의 AX 혁신을 추진해 사업의 근본 경쟁력을 높이고 LG디스플레이만의 차별적 고객가치를 제시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