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스마트에프엔 = 양대규 기자 | LG는 ‘LG 컨소시엄’이 국가대표 AI를 선발하는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프로젝트 사업자로 최종 선정됐다고 4일 밝혔다.
컨소시엄의 주관사인 LG AI연구원은 앞서 AI 원천 기술력을 입증한 바 있다.
LG AI연구원이 지난달 15일 공개한 ‘엑사원 4.0(EXAONE 4.0)’은 글로벌 AI 성능 분석 전문 기관인 ‘아티피셜 어낼리시스(Artificial Analysis)’의 인텔리전스 지수(Intelligence Index) 평가에서 한국 모델 기준 1위, 오픈 웨이트(공개) 모델 기준 글로벌 4위, 종합 글로벌 11위를 기록했다.
‘엑사원 4.0’이 최소 수 배에서 수십 배에 달하는 크기의 글로벌 프런티어 AI 모델들과의 비교에서 AI 기술 경쟁력을 입증받았다는 의미라고 LG 측은 설명했다.
‘LG 컨소시엄’은 LG AI연구원의 기술력을 기반으로 글로벌 최고 수준의 최신 프런티어 AI 모델 대비 95%가 아닌 100% 이상의 성능인 ‘K-EXAONE(K-엑사원)’을 개발해 오픈소스로 공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LG AI연구원은 컨소시엄 참여 기업들과 함께 ‘K-EXAONE’을 기반으로 다양한 서비스를 개발해 출시하고, 이를 다양한 산업 분야에 적용하는 AI 전환을 가속화해 국가 생산성 향상에 기여한다는 계획이다.
‘LG 컨소시엄’에는 주관사인 LG AI연구원을 비롯해 ▲LG유플러스 ▲LG CNS ▲슈퍼브AI ▲퓨리오사AI ▲프렌들리AI ▲이스트소프트 ▲이스트에이드 ▲한글과컴퓨터 ▲뤼튼테크놀로지스 등 10개사가 참여한다.
LG AI연구원은 ▲전문성과 범용성을 모두 갖춘 고성능 AI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LG유플러스, LG CNS, 슈퍼브AI) ▲누구나 쉽게 접근 가능한 풀스택 AI 산업 생태계 조성(퓨리오사AI, 프렌들리AI) ▲B2C, B2B, B2G 등 각 분야별 서비스 선도 사례 창출(이스트소프트, 이스트에이드, 한글과컴퓨터, 뤼튼테크놀로지스)을 위해 각 분야에서 최고 역량을 갖춘 기업으로 컨소시엄을 구성했다.

컨소시엄 참여 기업들은 K-엑사원을 기반으로 각 산업 영역에서 실질적인 활용 성과와 차별화된 성공 사례를 창출할 계획이다. 이를 토대로 더 많은 기업 및 기관과의 협력 네트워크를 확장해가며 K-엑사원 생태계 구축에 중추적 역할을 담당할 예정이다.
LG AI연구원은 더 많은 국내 대학원생에게 글로벌 최고 수준의 생성형 AI 연구 경험을 쌓을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기존에 운영 중인 ‘공모형 인턴제도’를 확대할 계획이다.
임우형 LG AI연구원 공동 연구원장은 “LG 컨소시엄은 글로벌 최고 수준의 프런티어 AI 모델 개발부터 이를 활용한 생태계 구축까지 AI 전주기 관점에서 대한민국의 AI 기술 경쟁력을 높이고, 자립적이고 지속 가능한 성장 기반을 마련하는 것이 목표”라며 “전 국민과 기업, 공공 분야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AI 활용 확산을 통해 대한민국이 글로벌 AI 선도국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 SKT 컨소시엄, 산학 전문가 연합으로 소버린 AI 모델 실현
- ‘국가대표 AI’ 5개 컨소시엄, '소버린 AI' 개발 위한 본격 레이스 돌입
- 서울시, AI산업 핵심 기반 'GPU 인프라·AX 전환' 지원 속도 낸다
- 대세는 AI 컨소시엄···SKT·네이버·KT·엔씨 중심으로 합종연횡
- “AI로 한달 작업 하루에” LGD, AX 혁신으로 생산성 대폭 향상
- LG CNS, 인니에 1000억원 규모 AI데이터센터 짓는다
- LG유플러스, 2분기 영업이익 19.9%↑···"AI 활용한 생산성 향상 원인"
- 딜라이브TV, LG스마트 TV FAST채널 통해 자체 콘텐츠 해외 송출
- LG전자,인니 AI 데이터센터 냉각솔루션 공급···"원 LG 솔루션 전략 성공"
- LG유플러스, 어르신들 대상 보이스피싱 예방 교육 나선다
- 삼성SDS, ‘리얼 서밋 2025’서 생성형 AI로 변화하는 기업 미래 소개
- LG CNS, 네이버와 '온라인 쇼핑 광고 최적화 서비스' 강화
- 삼성전자, TV·모니터에 MS 생성형 AI '코파일럿' 탑재
- LG CNS, AI 게임체인저 '수학최적화 경연대회' 성료
- 노타 “경량화·최적화로 하드웨어 변화 없이 고성능 AI 구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