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시장 붕괴 막기 위해 내달 기준금리 인하 지지"

| 스마트에프엔 = 김선주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연방준비제도(Fed·연준)에 기준금리 인하를 지속적으로 압박하는 가운데, 트럼프 대통령이 임명한 크리스토퍼 월러 연준 이사가 향후 3∼6개월간 추가 금리 인하가 단행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월러 이사는 28일(현지시간) 마이애미 경제클럽 연설에서 “노동시장의 붕괴를 막기 위해 다음 달 기준금리 인하를 지지하겠다”며 이같이 밝혔다고 로이터통신이 보도했다. 그는 “현재 상황을 고려할 때 내달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에서 25bp(1bp=0.01%포인트) 인하를 지지할 것”이라고 말했다.
월러 이사는 노동시장의 약화 조짐이 나타나고 있다며 “추가 악화가 빠르게 진행될 수 있는 만큼, 연준이 뒤늦게 대응하는 위험을 감수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다만 그는 “현재 확보된 데이터에 비춰보면 9월에 0.25%포인트 이상 인하할 필요는 없다”면서도, “내달 8일 발표될 8월 고용 보고서에서 경기 둔화와 인플레이션 억제 신호가 뚜렷하다면 입장을 바꿀 수 있다”고 덧붙였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이 발언을 두고 월러 이사가 사실상 0.5%포인트 ‘빅컷(jumbo rate cut)’ 가능성에도 문을 열어둔 것이라고 해석했다. 그는 또 “통화정책을 완화해 금리를 보다 중립적인 수준으로 옮길 시점”이라며, 현 정책금리(4.25∼4.50%)보다 1.25∼1.50% 낮은 수준을 ‘중립 금리’로 정의했다.
월러 이사는 “정책이 경기 흐름에 뒤처졌다고 생각하지 않는다”면서도 “9월 이후의 방향성을 명확히 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추가 인하 가능성을 시사했다. 이어 “향후 3∼6개월에 걸쳐 금리 인하가 이어질 것”이라며 “인하 속도는 앞으로의 경제 지표에 달려 있다”고 말했다.
월러 이사와 미셸 보먼 연준 부의장은 지난 7월 FOMC 회의에서도 고용시장 불안을 이유로 금리 인하를 주장하며 소수 의견을 냈다. 두 사람은 내년 5월 임기가 끝나는 제롬 파월 의장의 후임으로도 거론된다.
연준은 지난해 9월 이후 총 1%포인트의 금리 인하를 단행했지만, 올해 들어서는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전쟁으로 인한 인플레이션 재점화 우려 탓에 금리를 동결해왔다. 그러나 파월 의장은 지난 22일 잭슨홀 미팅 연설에서 금리 인하 가능성에 열려 있음을 시사했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이 공석인 연준 이사 자리에 지명한 스티븐 마이런 백악관 경제자문위원장은 상원 인준을 앞두고 있다. 블룸버그통신은 상원 은행위원회 청문회가 다음 주 열릴 예정이라며, 민주당이 인준을 저지하기는 사실상 어려울 것이라고 전했다. 이어 “공화당이 장악한 상원이 다음 달 FOMC 회의 전까지 마이런 지명자의 인준을 신속히 처리할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