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통화정책 운용 여력 커졌다"

| 스마트에프엔 = 한시온 기자 |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17일(현지시간) 기준금리를 0.25%p 인하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2기 행정부 출범 이후 첫 금리 인하다.
연합뉴스 보도에 따르면 연준은 이틀간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를 마치고 기준금리를 기존 4.25∼4.50%에서 4.00∼4.25%로 낮추기로 결정했다. 지난해 12월 0.25%p 인하 이후 5회 연속 동결을 이어오다가 9개월 만에 금리를 내린 것이다.
연준은 성명에서 “최근 지표는 상반기 경제 성장세가 둔화했음을 보여준다”며 “고용 증가세가 둔화하고 실업률은 소폭 올랐지만 여전히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인플레이션은 오름세를 이어가며 높은 수준에 머물러 있다”고 진단했다. 이어 “고용에 대한 하방 위험이 커졌다”고 설명했다.
다만 시장에서 기대했던 ‘빅 컷’(0.50%p 이상 인하)은 이뤄지지 않았다. 새로 취임한 스티븐 마이런 연준 이사는 0.50%p 인하에 투표했으나, 나머지 위원들은 0.25%p 인하를 지지했다.
지난 7월에 이어 연준의 금리 결정이 만장일치로 이뤄지지 않은 것이다.
연준은 올해 말 기준금리 예상치의 중간값을 기존 3.9%에서 3.6%로 낮췄다. 이에 따라 남은 두 차례 FOMC(10월, 12월)에서 0.25%p씩 추가 인하가 단행될 가능성이 커졌다. 이번에 공개된 점도표에 따르면 전체 위원 19명 중 12명이 올해 금리 인하를 예상했으며, 그중 9명은 두 차례 인하를 전망했다.
이번 결정으로 한국(2.50%)과 미국 간 금리차는 상단 기준 1.75%p로 축소됐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기자회견에서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이 인플레이션 상승의 대부분을 설명한다”며 “단기적 영향은 크지 않지만 내년까지 누적될 것”이라고 말했다. 고용시장에 대해서는 “노동 공급이 줄어드는 가운데 고용 수요도 급격히 감소해 ‘이상한 균형(curious balance)’이 나타나고 있다”고 설명했다.
연준은 올해 미국의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1.4%에서 1.6%로 상향 조정했다. 개인소비지출(PCE) 가격지수 상승률은 3.0%, 근원 PCE 상승률은 3.1%, 실업률은 4.5%로 각각의 전망치는 이전과 동일하게 유지됐다.
한편, 박종우 한국은행 부총재보는 18일 “Fed가 9개월 만에 금리를 인하함에 따라 국내 경기·물가·금융안정 여건에 집중해 통화정책을 운용할 수 있는 여력이 커졌다”고 밝혔다.
박 부총재보는 이날 오전 열린 ‘시장상황 점검 회의’를 주재하며 FOMC 정례회의 결과를 이같이 평가했다.
그는 “연준 위원들의 정책금리 전망이 크게 엇갈리고 있어 향후 통화정책 경로에 대한 불확실성이 여전히 크다”며 “미국 관세정책과 주요국 재정 건전성 우려 등 대외 위험 요인도 상존하는 만큼 각별한 경계심을 갖고 시장 상황을 면밀히 점검하겠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