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스마트에프엔 = 양대규 기자 | 셀트리온이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스테키마’(성분명: 우스테키누맙)와 알레르기 질환 치료제 ‘옴리클로’(성분명: 오말리주맙)를 호주에 출시했다고 4일 밝혔다.
이번에 출시된 제품들은 셀트리온 호주 법인과 현지 유통 파트너사인 아로텍스(Arrotex Pharmaceuticals)에서 각각 판매를 담당한다.
셀트리온 측은 "이 같은 영업 방식은 호주 제약 시장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전략의 일환"이라며 "각 유통사가 주력하는 공급 채널에 마케팅 역량을 집중해 사각지대를 최소화하고 판매망을 더욱 촘촘히 타겟 할 수 있다는 강점이 있다"고 설명했다.
호주에서는 제품 유형에 따라 판매 방식이 다르게 운영된다. 병원에서 사용되는 제품은 통상 입찰 방식으로 공급이 이뤄진다. 반면 자가 투여 제품은 약국 등 공급 채널을 대상으로 한 영업 활동을 통해 시장을 넓히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이에 셀트리온 호주 법인은 주요 이해관계자와의 협력을 강화해 입찰 성과를 높이며 적극적인 영업 활동으로 판매망 확대에 주력하는 등 전방위적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여기에 바이오시밀러 지원 제도를 시행 중인 호주 제약 산업 특성이 더해지면서 셀트리온 제품의 시장 확대는 더욱 가속화될 전망이다. 호주는 약가가 낮은 바이오시밀러 처방을 통해 재정 부담을 완화시킬 수 있다. 허가 절차 간소화 등 바이오시밀러 사용을 유도하는 각종 지원 정책을 운영하고 있다.
셀트리온은 호주에서 주요 제품들의 고른 성장을 이어가고 있다. 의약품 시장 조사기관인 아이큐비아(IQVIA)에 따르면 2025년 1분기 기준 호주에서 램시마 제품군(인플렉트라·램시마SC)은 57%의 점유율을 기록했다. ‘램시마SC’(성분명: 인플릭시맙, 피하주사제형)는 단독으로 27%의 점유율을 달성했다. ‘허쥬마’(성분명: 트라스투주맙)가 56%, ‘트룩시마’(성분명: 리툭시맙)가 17%의 점유율을 기록하는 등 셀트리온 항암제도 호주 제약 시장 내 처방 성과를 높여가고 있다.
주변국인 뉴질랜드에서도 성과가 이어지고 있다. 허쥬마는 지난 2022년 뉴질랜드에 출시된 이후 트라스투주맙 정부 입찰에서 계속 낙찰에 성공해 왔다. 지난해부터 올 1분기까지 허쥬마는 뉴질랜드에서 100%에 근접한 점유율로 시장을 압도하고 있다. 셀트리온 뉴질랜드 법인은 올 3월 ‘베그젤마’(성분명: 베바시주맙)를 새롭게 출시하면서 항암제 간 시너지를 적극 활용해 처방 성과를 높인다는 계획이다.
후속 제품 출시도 예정돼 있다. 셀트리온은 2026년에 ‘스토보클로-오센벨트’(성분명: 데노수맙) 및 ‘앱토즈마’(성분명: 토실리주맙)를 오세아니아 지역에 출시할 계획이다. 기존 제품에 대한 신뢰성과 선호도를 바탕으로 신규 제품의 시장 조기 안착에 주력하면서 오세아니아 지역 내 셀트리온 의약품의 영향력을 더욱 강화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셀트리온 김지태 남부아시아 담당장은 “기존 제품들이 호주 제약 시장에서 처방 성과를 높이고 있다”며 “호주와 뉴질랜드의 제도 환경 및 시장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판매 전략으로 환자의 접근성을 높이는 한편, 후속 제품 출시를 통한 포트폴리오 강화도 지속하겠다”고 말했다.
- 셀트리온, 안과질환 치료제 ‘아이덴젤트’ 52주 임상 결과 국제학술지 게재
- 글로벌 CDMO 리더십 확보를 위해 삼성바이오로직스 거침없이 '질주'
- 동아ST, 스텔라라 바이오시밀러 ‘이뮬도사’ 美 출시
- 셀트리온 호실적에 기여한 '바이오시밀러' 어떤 것들이 있을까?
- 존림 삼성바이오로직스 대표 "글로벌 CDMO 리더 도약 본격화”
- 정부, 'K-바이오 의약산업 대도약 전략' 발표···글로벌 5위 바이오 강국 목표
- 셀트리온홀딩스, 5000억원 규모 셀트리온 주식 매입
- 롯데바이오로직스, 송도 바이오캠퍼스 제1공장 상량식
- 셀트리온, '일자리 으뜸기업’ 선정··· 2년 연속 양질 일자리 창출
- 셀트리온, 바이오 헬스 아카데미 프로그램 ‘셀온’ 1기 모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