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스마트에프엔 = 양대규 기자 | 정부는 5일 인천 송도컨벤시아에서 열린 '바이오 혁신 토론회'에서 'K-바이오 의약산업 대도약 전략'을 발표했다.
토론회에는 삼성바이오로직스, 롯데바이오로직스, SK바이오사이언스 대표 등 60여명의 업계 주요 관계자가 참여했다. 정부에서는 식품의약품안전처, 보건복지부, 기획재정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업통상자원부, 중소벤처기업부 등 관계부처가 참여했다.
정부는 2030년까지 바이오 의약품 수출 2배 달성, 블록버스터급 신약 3개 창출, 임상시험 3위 달성을 목표로 규제 혁신과 산업 성장을 지원한다. 바이오시밀러(바이오의약품 복제약) 허가 심사 기간을 406일에서 295일로 단축하고, 건강보험 신속 등재 기간도 330일에서 150일로 줄임여 시장 출시 가속화를 돕는다.
글로벌 의약품 시장 규모는 지난해 1조7487억달러로 반도체의 3배 수준다. 연평균 4.7% 성장하고 있다. 이 중 바이오 의약품은 매년 11.9%씩 성장하는 등 더욱 가파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한국은 최고 수준 위탁개발생산(CDMO) 역량과 바이오시밀러 블록버스터를 보유하고 있다. 바이오 의약품 수출의 경우 지난해 58억달러로 세계 10위권이다.
정부는 이를 세계 5대 강국까지 끌어올린다는 비전이다. 이에 ▲ 수요자 체감형 규제 대전환 ▲ 기술-인력-자본 연계 성장 가속화 ▲ 앵커-바이오텍 기업 동반 성장 등 구체적 목표를 제시했다.
신기술 의약품 신속 출시를 위해 필요한 규제를 선제 지원하고 바이오시밀러 임상 3상 요건을 완화한다. 허가 심사에 인공지능(AI)을 활용하고 심사 인력을 확충해 심사 기간을 4개월 단축하고 허가와 급여 평가, 약가 협상 동시 진행을 2027년까지 제도화해 건보 등재 기간을 대폭 줄인다. AI 기반 신약 개발, AI·로봇 기반 자동화 실험실, 유전자·세포치료 등 기술 개발을 지원하여 AI바이오 의약기술 대전환을 추진한다.
한국인 100만 명 바이오 빅데이터를 구축하고, 통합·공유하는 플랫폼도 고도화한다. 실전형 인력 11만 명을 양성하고 신약 개발 전 주기에 걸쳐 투자 시장을 활성화하기 위한 정부 펀드도 확대한다. CDMO 등 바이오 제조 초격차 확보를 위해 인프라와 금융, 세제, 인력 등을 지원하고 소재·부품·장비 국산화율을 높인다.
이외에도 개방형 혁신(오픈 이노베이션)을 통해 바이오벤처 원천기술이 완제품까지 이어지도록 성장을 지원한다.
이날 전략 발표 이후 이재명 대통령 주재로 열린 토론회에는 국내 바이오 의약산업 대표들과 협회, 단체 등 130여 명이 참여해 '규제혁신'과 '성장과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논의했다고 연합뉴스는 보도했다.
- 서울시, AI·바이오 스타트업에 2500억 투자···펀드 운용사 8곳 선정
- 셀트리온, 호주서 자가면역 치료제 스테키마·알레르기 치료제 옴리클로 출시
- 미래를 새기는 청사진, 이재명정부의 '초혁신경제' 실험
- 셀트리온, 안과질환 치료제 ‘아이덴젤트’ 52주 임상 결과 국제학술지 게재
- SK바이오사이언스, RSV 항체주사 심포지엄 개최
- 정부·업계 한목소리, 바이오시밀러 '임상 간소화' 속도↑
- 롯데바이오로직스, 송도 바이오캠퍼스 제1공장 상량식
- 삼성바이오로직스, BPI 참가···CDMO 경쟁력 강조
- 롯데바이오로직스, 하반기 日·獨·美 바이오 행사 참가···CDMO 경쟁력 강화
- 서정진 회장 “셀트리온, 美 릴리 공장 인수로 '관세 리스크' 완전 해소"
- 삼성바이오로직스, 임직원 마음건강 지원 '마음챙김 위크' 운영
- 롯데바이오로직스, 독일 ‘CPHI’ 참가해 글로벌 CDMO 시장 공략 나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