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나무는 네이버 비상장 자회사인 네이버파이낸셜과 포괄적 주식 교환을 물밑 추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 이미지=구글 제미나이 생성
두나무는 네이버 비상장 자회사인 네이버파이낸셜과 포괄적 주식 교환을 물밑 추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 이미지=구글 제미나이 생성

| 스마트에프엔 = 양대규 기자 | 네이버가 국내 최대 가상자산 거래소 업비트를 운영하는 두나무를 자회사로 편입할 전망이다.

25일 금융권에 따르면, 두나무는 네이버 비상장 자회사인 네이버파이낸셜과 포괄적 주식 교환을 물밑 추진 중이다. 양사의 포괄적 주식 교환은 네이버파이낸셜이 발행한 신주를 기존 두나무 주주가 보유한 지분과 맞바꾸는 방식으로 이뤄질 것으로 알려졌다. 

두나무는 네이버파이낸셜 100% 자회사가 되며 네이버의 손자회사로 편입되는 셈이다.

이에 대해 네이버 측은 "네이버파이낸셜은 두나무와 스테이블 코인, 비상장주식 거래 외에도 주식 교환을 포함한 다양한 협력을 논의하고 있으나, 추가적인 협력사항이나 방식에 대해서는 확정된 바 없다"고 밝혔다.

두나무는 송치형 두나무 회장 겸 이사회 의장이 지분율 약 25.5%, 김형년 부회장이 13.1%, 카카오인베스트먼트가 10.6% 등을 보유하고 있다.

네이버는 현재 네이버파이낸셜 지분 약 75%(전환우선주 포함)를 보유한 최대주주다. 미래에셋금융그룹 계열사들이 나머지 지분을 보유 중이다.

거래 후 기존 네이버파이낸셜 주주(네이버, 미래에셋금융그룹)가 보유한 지분율은 희석될 전망이다. 

앞서 두나무는 지난 7월 네이버파이낸셜과 원화 스테이블코인 사업에 협력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양사의 합병이 성사되면 스테이블코인 사업 협력에서 더 나아가 결제, 송금, 투자,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아우르는 미래 금융 플랫폼을 구축할 수도 있다.

또한 두나무는 세계 3위 규모의 가상자산 거래소다. 국내 1위 핀테크 기업인 네이버파이낸셜이 두나무와 결합하면 스테이블코인 시장에서 경쟁력을 가질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스테이블코인 시장은 테더, 서클 등 기존 달러 스테이블코인이 90% 이상의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

네이버페이가 원화 스테이블코인을 발행하면 두나무가 블록체인 기술 측면에서 돕고, 업비트가 이를 상장·유통하는 형태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주식 교환 이후에도 두나무 공동 창업자인 송치형 회장과 김형년 부회장은 회사 경영을 지속할 전망이다.

금융당국 승인이 떨어지는 대로 양사 이사회와 주주총회를 거쳐 포괄적 주식 교환 절차를 마무리할 것으로 보인다. 업계 관계자들 사이에는 네이버가 앞으로 네이버파이낸셜의 기업공개(IPO)를 할 것이라는 이야기도 나오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스마트에프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