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스마트에프엔 = 김준하 기자 |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기준금리 인하 신호가 부동산 시장을 자극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 총재는 금리 정책만으로 부동산 가격을 통제하기 어렵다며, 유동성 공급이 시장 과열로 이어지지 않도록 신중한 통화정책 운용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 총재는 16일 서울대 경제학부가 주최한 '통화정책과 구조개혁' 특강에서 "금리로는 부동산 가격을 잡을 수 없다"고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그는 지난 7월과 8월 두 차례 연속 기준금리를 2.50%로 동결한 배경에 대해 "금리 0.25%p 인하를 한두 달 미뤄도 경기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다"며 "금리 인하 신호로 서울 부동산 가격이 오르면 더 고생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유동성 공급으로 부동산에 불을 지르지 않겠다는 철학이 있다"고 말했다.
원화 기반 스테이블코인 도입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입장을 보였다. 이 총재는 "원화 스테이블코인을 만든다고 달러 스테이블코인 침투를 막을 수 있는 것은 아니다"라며 "우리가 먼저 발행하면 '스테이블코인 G2(주요 2개국)'가 될 수 있다는 말은 공포마케팅"이라고 주장했다.
한국 경제 전망과 관련해서는 구조적 문제를 지적했다. 이 총재는 지난달 발표한 수정 경제전망에서 성장률을 0.9%로 제시한 것과 관련해 "위기 상황이라기보다는 잠재성장률이 하락한 결과"라며 "재정·금융정책이 나쁜 것은 아닌데 그것만으로는 구조가 개혁되지 않는다"고 밝혔다.
또한 "재정은 미래에 거둘 세금을 미리 사용하는 것과 같고, 경기가 어려울 때 이자율을 낮추는 것이 경기 조정역할을 할 수는 있지만 큰 틀은 바꿀 수 없다"며 "정치적 리더십이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국가채무비율에 대해서는 "경기 침체기에 재정이 어느 정도 역할을 해야 한다"면서도 "부채가 계속 늘어나는 것은 좋지 않다"고 지적했다.
- “차 문 안 열려 창문 깨야” 테슬라 17만대 조사 착수
- 엔비디아 흔드는 중국의 칼날···주가 하락·신제품 부진 겹악재
- 틱톡 두고 맞붙은 미·중 결국 합의···트럼프 베이징 방문 성사될까
- 은행권 '올빼미 공시' 여전···올해 19건 중 12건 '금요일 오후'에
- 박상진 한국산업은행 회장 취임···"첨단산업·중소기업 지원 집중"
- [주간금융] 코스피 역대 최고치···금감원 "공공기관 지정 철회" 시위
- 1분기 정부부채 사상 최대···고령화로 가속화 우려
- 수출입은행, 호남권 수출위기 대응 설명회 개최
- 은행 해외법인 잇단 금융사고에도···불투명한 공시의무 규정
- 신한카드 "민생쿠폰이 영세가맹점 매출 도와"
- 카카오뱅크, 서민금융상품 '새희망홀씨Ⅱ' 출시
- 하나증권, '공포탐욕시그널' 서비스 출시···"AI 기반 투자심리 지표"
- 토스뱅크 '전월세보증금대출', 2년간 4조3600억원 공급
- [현장] 위메이드, 원화 스테이블 코인 전략 공식화···"편의성과 공공성으로 차별화"
- 농협중앙회 홍보실 봉사단, 국가유공자 방문···"위문품 전달 및 말벗 봉사"
- [기자수첩] 국경 뒤에 숨은 금융사고···은행법 손봐야
- 두나무, 네이버 자회사로 합병되나? 원화스테이블 코인 경쟁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