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스마트에프엔 = 김준하 기자 | 신한카드는 민생회복 소비쿠폰으로 영세 중소가맹점의 매출 증가와 가맹점주의 개인 소비가 늘어나는 효과를 확인했다고 18일 밝혔다.
신한카드 빅데이터연구소가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 전 3개월 평균과 지급 후 1개월간 영세 중소가맹점의 매출액 변화를 분석한 결과, 연 매출 3억원 이하 가맹점의 매출 증가율이 15.4%로 비교군 중 가장 높은 증가폭을 보였다.
가맹점 규모별 매출액 증가율은 ▲연 매출 3억원 초과 5억원 이하 가맹점에서는 6.4% ▲5억원 초과 10억원 이하 5.9% ▲10억원 초과 30억원 이하 6.5% 등이었다. 규모가 작은 영세 가맹점의 매출 증가효과가 중소 가맹점에 비해 2배 이상 높았다.
매출 증가에 따라 가맹점주의 개인 소비도 늘어난 것으로 파악됐다. 연 매출 3억원 이하 가맹점주의 인당 카드 이용액은 12.6% 증가해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다. 5억원 이하 가맹점주와 10억원 이하 가맹점주는 각각 8.8%, 2.6% 늘어났다. 30억원 이하 가맹점주는 오히려 0.2% 감소했다. 가맹점 규모가 작을수록 가맹점주의 소비여력이 증대되는 효과가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됐다.
가맹점주는 일반인과 달리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가맹점 홍보, 사무용품 구매 등 사업 경비로 활용하는 경향도 있었다.

한편 신한카드의 '소상공인 경제고충지수'에 따르면, 올해 8월 기준 영세 가맹점(연 매출 3억원 이하)과 일반 가맹점의 경제고충지수는 각각 87.9, 81.3으로 집계됐다. 올해 4월 이후 지속 하락하는 추세로 2022년 이후 가장 낮은 수치다.
이 지수는 카드 데이터 등 미시 경제지표 15개와 거시 경제지표 5개를 결합해 사업운영 시 소상공인이 체감하는 고충을 표준화한 지수다. 수치가 높을수록 소상공인의 경제적 고충이 높음을 의미한다.
신한카드 관계자는 "데이터 분석을 통해 전 국민에게 지급한 민생회복 소비쿠폰이 소비진작 효과뿐만 아니라 경제 선순환을 위한 마중물로서 역할을 톡톡히 해낸 것으로 풀이된다"고 말했다.
- 금융위, 제4인뱅 예비인가 4곳 모두 불허
- 은행 해외법인 잇단 금융사고에도···불투명한 공시의무 규정
- 롯데카드 해킹 충격···피해 규모 대폭 확대
- 1분기 정부부채 사상 최대···고령화로 가속화 우려
- 이창용 "금리 인하 신호, 부동산 자극"···스테이블코인 부정 의견 유지
- 은행권 '올빼미 공시' 여전···올해 19건 중 12건 '금요일 오후'에
- 미래경제교육네트워크, 은평구청과 협약···"금융취약계층 재무컨설팅 제공"
- [주간금융] 코스피 역대 최고치···금감원 "공공기관 지정 철회" 시위
- 우리카드, 하반기 신입사원 공개 채용
- 정부, 22일부터 2차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 접수
- 2차 소비쿠폰 신청 첫날 640만명에 6396억원 지급···14% 수준
- 2차 소비쿠폰 신청 사흘 40% 돌파···1조8583억원 풀려
- 신한카드, 중소 지자체 위한 AI 분석 솔루션 개발···"2개월 무상 제공"
- 신한카드, '스플렌더 플러스 카드' 출시
- 신한카드, 서울시와 손잡고 미혼남녀 교류행사 ‘더 운명적인 만남’ 후원
- 신한카드, 소상공인 대상 ‘성실 상환 시 최대 3%p 금리 인하’ 서비스 시행
- 신한카드, 유니세프와 마음건강 행사 개최
- 신한카드 '임직원 달리기' 통한 기후위기 극복 캠페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