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스마트에프엔 = 김준하 기자 | 올해 1분기 우리나라 국내총생산(GDP) 대비 정부부채 비율이 국제결제은행(BIS) 통계 집계 이래 최고치를 기록했다. 주요 선진국에 비해서는 낮은 수치지만, 고령화 심화로 기초연금 등 재정 지출이 가파르게 늘고 있어 정부부채 증가세가 가속화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17일 BIS 통계에 따르면 올해 1분기 말 한국의 GDP 대비 정부부채 비율은 47.2%였다. BIS 기준은 국제통화기금(IMF)이나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와 달리 비영리 공공기관 및 비금융 공기업의 부채를 제외한 국가채무만 반영한다.
정부부채 비율은 2020년 1분기 코로나19 팬데믹을 겪으며 처음 40%를 넘은 뒤 늘어나는 추세다. 2023년 1분기 44.1%, 2024년 1분기 45.2%까지 올랐고, 같은 해 4분기 43.6%로 소폭 줄었다가 올해 다시 뛰었다. BIS가 관련 통계를 집계한 1990년 이후 35년 만에 47%대를 기록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BIS는 1분기 말 기준 한국의 정부부채를 약 1212조원으로 추산했다. 원화 기준으로는 사상 최대 규모지만, 달러 환산액은 약 8222억달러로, 지난해 3분기 최고치(8683억달러)보다 5% 감소했다. 원·달러 환율 상승의 영향으로 분석된다.

한국의 정부부채 비율은 BIS 집계 OECD 회원국 28개 중 18위다. 주요 선진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이다.
하지만 국가부채가 낮다고 해서 안심할 수 없다는 시각도 나온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전날 서울대 강연에서 "국가 부채가 계속 늘어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경고했다.
특히 빠르게 진행되는 고령화가 재정 부담을 크게 늘릴 가능성이 점쳐진다. 한국개발연구원(KDI)에 따르면 우리나라 기초연금 예산은 2014년 6조8000억원에서 올해 26조1000억원으로 4배 가까이 늘어났다. 이 수치는 2050년에 125조4000억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 롯데카드 해킹 충격···피해 규모 대폭 확대
- 이창용 "금리 인하 신호, 부동산 자극"···스테이블코인 부정 의견 유지
- “차 문 안 열려 창문 깨야” 테슬라 17만대 조사 착수
- 엔비디아 흔드는 중국의 칼날···주가 하락·신제품 부진 겹악재
- 틱톡 두고 맞붙은 미·중 결국 합의···트럼프 베이징 방문 성사될까
- [시승기] 2026년형 BYD 씨라이언 7
- [현장] "가장 위험 한 곳, 보호는 없었다"···교통사고조사원이 거리에 나선 이유
- 수출입은행, 호남권 수출위기 대응 설명회 개최
- 은행 해외법인 잇단 금융사고에도···불투명한 공시의무 규정
- 금융위, 제4인뱅 예비인가 4곳 모두 불허
- 신한카드 "민생쿠폰이 영세가맹점 매출 도와"
- 카카오뱅크, 서민금융상품 '새희망홀씨Ⅱ' 출시
- 하나증권, '공포탐욕시그널' 서비스 출시···"AI 기반 투자심리 지표"
- 토스뱅크 '전월세보증금대출', 2년간 4조3600억원 공급
- 농협중앙회 홍보실 봉사단, 국가유공자 방문···"위문품 전달 및 말벗 봉사"
- [기자수첩] 국경 뒤에 숨은 금융사고···은행법 손봐야
- [주간금융] 롯데카드 해킹으로 297만명 정보 유출···금감원 대규모 시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