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마트에프엔 = 황귀영 기자 | 정장선 평택시장이 13일 자신의 SNS에 “SRT 개통 이후 평택지제역 이용객이 전국 SRT 정차역 중 가장 빠르게 증가했다는 소식에 감회가 새롭다”는 글과 함께 “평택 고덕 KTX 남부역사(가칭)는 '기술적으로 불가능하다'는 정부의 최종 판단에 따라 지제역 SRT 정차를 결정했다”고 언급하자 고덕 주민들의 거센 반발이 이어지고 있다.

고덕 국제신도시 주민들은 지난 1일 평택시의회에서 KTX 경기 남부역사 추진 간담회를 진행한 바 있다. 이 간담회는 한동안 수면 아래 있던 남부역사 추진 문제를 공론의 장으로 끌어올리기 위해 주민들이 힘을 모아 관련 부처, 정치인까지 모두 한자리에 불러 모으는 성과를 거뒀다는 평가를 받았다. <본보 2025년 10월2일 자 '주민 힘으로 정부·정치권 움직였다···평택 고덕 KTX 경기 남부역사(가칭) 추진 간담회 개최' 기사 참조>
남부역사는 주한미군 기지 이전에 따른 특별 보상으로 지난 2008년 고덕신도시 광역 교통 개선 대책에 따라 LH가 전액 비용을 부담하는 것으로 확정됐지만 LH의 재정 부담과 철도관련 각 기관들의 역할 분담 문제들이 얽히면서 장기 계획으로 남은 사업이다.
이런 와중에 정 시장이 SNS에 남긴 발언은 고덕 주민들의 민심을 폭발시켜버렸다.
주민 A씨는 “'기술적 불가'라는 정부 최종 판단에 대한 근거를 장확히 공개하라”면서 “이건 본인 치적 자랑이 아닌 배척이다. 정부 핑계를 대며 고덕을 버린 것 아니냐. 시장은 대체 누구 편이냐”고 격앙된 반응을 보였다.
주민들은 한 목소리로 정 시장의 앞뒤가 맞지 않는 행정 행태를 꼬집었다.
이들은 LH가 지난 4월22일 평택시 요청으로 남부역사 일대 광역 교통 개선 대책에 따른 철도시설 설치 타당성 용역에 착수한 것을 거론하며 “시장이 ‘기술적 불가라는 정부의 최종 판단’이라 못 박아놓고 4월에 용역을 의뢰한 이유는 무엇이냐”며 “앞뒤가 맞지 않는 최악 행정”이라고 비난했다.
주민 B씨는 “평택 인구 유입에 가장 큰 역할을 한 삼성은 고덕에 있는데, 정 시장은 SNS 홍보보다 고덕 교통난부터 해결하라”며 “지제역 이용객 증가를 자랑할 일이 아니라, 고덕 주민들의 교통 소외 현실부터 직시해야 한다”고 불만을 드러냈다.
고덕 국제신도시 주민들은 그동안 계획된 인프라 및 주요 앵커시설 등이 취소 또는 축소, 연기 되면서 평택시에 대한 불신이 팽배한 상황이다.
주민들은 "정 시장의 발언은 행정 수장의 입장이라기 보다 지역 갈등을 부추기는 편향적 태도"라고 지적하며 “남부역사 추진의 최대 걸림돌은 '기술적 문제'가 아니라 바로 '정 시장의 나약한 의지'”라고 입을 모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