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스마트에프엔 = 양대규 기자 | 21일 오후 5시 국가AI(인공지능)컴퓨팅센터 사업 공모가 마감된다.
이날 전남라도에 따르면 국가AI컴퓨팅센터 사업 공모에 삼성 SDS가 주도하는 컨소시엄이 최근 전남도를 후보지로 선정해 공모 신청서를 낼 것으로 알려졌다.
과기부나 삼성 SDS는 국가 AI컴퓨팅센터가 신청 기업과 들어서게 될 지역을 구체적으로 밝히지 않고 있다.
국가AI컴퓨팅센터 구축공모사업 공모는 삼성SDS가 주관하는 컨소시엄의 단독 참여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보인다. 컨소시엄은 삼성SDS가 네이버클라우드, 카카오, KT 등 대표 IT 기업들과 함께 초대형 컨소시엄 형태로 참여할 전망이다.
이에 유력한 단독 후보인 삼성SDS 컨소시엄이 '선택'한 지자체가 유치 지역이 될 가능성이 높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전남도 관계자는 "삼성 SDS측으로부터 이번 사업을 함께 하겠다는 내용을 통보받은 것은 사실"이라며 "공모 신청서가 접수됐는지 확인할 수는 없어 최종 결과를 지켜볼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에 따라 광주시는 삼성 SDS 컨소시엄으로부터 선정 통보를 받지 못한 것으로 전해졌다. 강기정 광주시장은 이날 오전 기자회견을 열어 광주를 선택해달라고 막판 눈물로 호소했다.
광주시는 삼성 SDS, 정부 등과 전방위 접촉해 마감까지 유치전을 이어간다는 방침이다.
국가AI컴퓨팅센터는 국가 차원에서 구축하는 초대형 AI 연산 시설이다. 최소 수만장의 GPU(그래픽처리장치)를 집적해 AI 모델을 개발하고, 반도체를 비롯한 자율주행, 헬스케어 등 AI를 활용한 차세대 산업 연구를 뒷받침할 수 있다.
정부가 추진하는 국가AI컴퓨팅센터 구축 사업은 2028년까지 첨단 GPU 1만5000장, 2030년까지 총 5만장 규모의 AI 인프라를 완성하는 대형 프로젝트다.
이번 사업에는 민관을 합쳐 2조원이 넘는 거액이 투입된다. 민간 기업은 최대 25% 투자 세액공제와 신속한 전력 계통 영향평가 등 여러 혜택이 주어진다.
과기정통부는 사업 참여 신청서를 접수한 후 11월 중 기술·정책 평가(1단계), 12월 금융 심사(2단계)를 거쳐 2026년 상반기 착공을 목표로 특수목적법인(SPC)을 설립한다. 내년 상반기 실시협약과 본 출자 절차를 마무리한 후 본격적인 사업 착수에 나설 계획이다.
- 삼성SDS, '리얼 서밋 2025’서 ‘AI 풀스택’ 역량 선보여
- "LG유플러스, AI 내재화·AX 전환 속도↑" ···컨콜서 B2C·B2B 전방위 AI 전략 강조
- 크래프톤, SK텔레콤과 '국가대표 AI' 정예팀 선정
- ‘국가대표 AI’ 5개 컨소시엄, '소버린 AI' 개발 위한 본격 레이스 돌입
- 대세는 AI 컨소시엄···SKT·네이버·KT·엔씨 중심으로 합종연횡
- 삼성전자 반도체, 장밋빛 반등···'D램 공급부족'·'엑시노스 부활'·'머스크 수주' 맞물려
- 네이버·카카오, 행안부와 손잡고 ‘AI 국민비서’ 만든다···말 한마디로 공공서비스 이용
- 삼성SDS, 3분기 '클라우드' 매출 56%↑···IT·물류 매출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