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간 에틸렌 100만t, 프로필렌 52만t, 폴리프로필렌 35만t, 부타디엔 14만t, BTX 40만t 생산

지난 6일 인도네시아 반텐주 찔레곤시에서 롯데케미칼 인도네시아 준공식이 개최됐다. 롯데그룹 신동빈 회장(왼쪽에서 두번째), 인도네시아 프라보워 수비안토 대통령.(가운데) /사진=롯데케미칼
지난 6일 인도네시아 반텐주 찔레곤시에서 롯데케미칼 인도네시아 준공식이 개최됐다. 롯데그룹 신동빈 회장(왼쪽에서 두번째), 인도네시아 프라보워 수비안토 대통령.(가운데) /사진=롯데케미칼

| 스마트에프엔 = 김종훈 기자 | 롯데케미칼이 6일(현지시간) 인도네시아 반텐주 찔레곤에서 롯데케미칼 인도네시아(LCI) 준공식을 열었다고 7일 밝혔다. 행사에는 롯데그룹 신동빈 회장, 롯데케미칼 이영준 총괄대표, 인도네시아 프라보워 수비안토 대통령 등이 참석했다.

LCI는 라인 프로젝트로 총 39억5000만달러(한화 약 5조7543억원)가 투입됐다. 110Ha(약 33만평) 부지에 2022년 착공했으며 올해 5월 완공했다. 생산은 지난달부터 시작했고, 주요 제품은 연간 에틸렌 100만t, 프로필렌 52만t, 폴리프로필렌 35만t, 부타디엔 14만t, BTX 40만t 등이다.

인도네시아는 석유화학을 ‘메이킹 인도네시아 4.0’의 핵심 산업으로 육성하고 있으나, 에틸렌 자급률은 낮은 수준으로 알려져 있다. 롯데케미칼은 LCI 물량이 내수 공급에 투입되면 자급률 개선과 수입 대체 효과가 기대된다고 밝혔다.

롯데케미칼 인도네시아(LCI) 석유화학단지 전경. /사진=롯데케미칼
롯데케미칼 인도네시아(LCI) 석유화학단지 전경. /사진=롯데케미칼

LCI는 납사 외에 LPG 최대 50% 투입이 가능한 설계를 적용해 원가 대응력을 높였다. 자산정보관리(AIM) 솔루션으로 설비 데이터와 3D 모델을 통합 관리해 예방정비와 운영 효율을 강화했다. 더불어 인근 롯데케미칼 타이탄 누산타라(LCTN)의 PE 45만t 설비에는 기존 해상 운송 대신 파이프라인을 통해 에틸렌을 공급, 물류 효율을 높였다.

이번 증설은 동남아 시장 공략을 위한 현지 생산 거점 성격이 강하다. 한국과 인도네시아 석화 시장은 분리돼 있어, 국내 공급·수출에 미치는 직접 영향은 제한적이라는 평가다.

롯데그룹 신동빈 회장은 "이번 프로젝트는 양국 간 견고한 파트너십을 상징하고 인도네시아 석유화학 산업과 경쟁력 강화를 위한 중요한 기반이 될 것"이라며 "에틸렌, 프로필렌 등 주요 석유화학제품을 생산하며 약 20억달러 규모의 경제적 부가가치를 창출해 인도네시아의 지속 가능한 경제 성장에도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스마트에프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