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발표한 상호관세 시행으로 '미국 내' 아이폰 가격이 최대 2300달러(한화 약 333만원)까지 오를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애플이 아이폰의 90% 가량을 중국에서 생산하기 때문이다. 

4일 주요 외신에 따르면, 애플이 관세 부과에 따른 비용을 소비자에게 전가할 경우 아이폰 가격이 30∼40% 인상될 것이라는 분석이다.

아이폰16
아이폰16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중국에 대해 34%의 상호관세를 부과했다. 기존 중국에 적용해온 20%의 관세를 더하면 중국발 수입 제품 관세는 54%로 오르게 된다. 대부분의 아이폰 제품을 중국에서 생산하는 애플로서는 상당한 타격이 예상된다. 

외신 보도에 따르면, 상호 관세로 인상될 비용을 소비자 가격에 전가한다면 43%의 가격 인상이 일어날 수 있다고 예측했다.

일례로 '아이폰16 기본형'은 현재 미국에서 799달러에 출시되고 있다. 이 제품에 향후 인상된 관세를 적용할 경우 최대 1142달러로 오를 수 있다. 

또한 최고급 모델인 '아이폰16 프로 맥스'는 소비자 가격이 1599달러에서 43% 오른 2300달러에 달할 수도 있다고 내다봤다.

이처럼 인상된 가격은 미국 내에서만 적용된다. 현지 전문가들은 대중국 관세가 미국의 대표기업인 애플의 발목을 잡을 것이라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또한 애플이 관세 비용 상쇄를 위해서는 제품 가격을 30% 가량 인상해야 할 것이라는 보도도 나오고 있다. 

다만, 아이폰 판매가 부진한 상황에서 애플이 가격을 올리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일각에서는 아이폰 가격이 급등할 경우 중국보다 낮은 관세가 부과된 삼성전자가 더 유리할 수 있다고 전망도 나온다. 한국산 수입품의 경우 낮은 25%의 상호관세를 부과했기 때문이다. 

닌텐도 스위치2
닌텐도 스위치2

한편, 전날 닌텐도 스위치 2 출시 가격도 상호 관세 이슈로 논란이 일기도 했다. 미국은 449.99달러(한화 약 66만원)로 공개됐는데, 닌텐도는 기기 생산 공장을 베트남과 캄보디아에서 생산한다. 이 경우 49%의 관세가 부과되는 캄보디아에서 스위치2가 수입된다면, 스위치2의 미국 가격은 단순 계산으로 670달러(한화 약 98만원)까지 오르게 된다. 

저작권자 © 스마트에프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