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품·조립 모두 외국 의존…애플, 생산 이전도 해법 안 된다
"미국 내 조립비만 10배" 관세 면제 여부에 시장 판도 달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발표한 상호관세 조치가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에 거센 후폭풍을 몰고 오고 있다. 특히 아이폰 생산의 90% 이상을 중국에 의존하는 애플은 충격을 피할 수 없게 됐다. 업계는 이번 조치로 인해 아이폰의 부품 원가가 300달러 이상 상승하며 최종 소비자가격이 최대 2300달러까지 오를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봤다.
7일 업계에 따르면, 전날 월스트리트저널(WSJ)과 로이터 등은 애플 아이폰16 프로(256GB 기준)의 부품 원가는 현재 약 550달러지만, 미국이 중국산 부품에 54%, 한국산 25%, 일본산 24%의 관세를 부과하면서 원가는 약 847달러로 치솟을 전망이라고 보도했다.
가장 비싼 부품은 일본산 카메라 모듈(126.95달러), 대만산 AP 칩(90.85달러), 한국산 OLED 디스플레이(37.97달러) 등이며 조립은 대부분 중국 폭스콘 공장에서 이뤄진다.
문제는 관세가 단순히 조립 공장에 국한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로젠블랫증권 바턴 크로킷 수석 애널리스트는 “아이폰은 글로벌 부품을 기반으로 조립되기 때문에 미국에서 최종 조립하더라도 부품 수입에 따른 관세 부담은 피할 수 없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조립비만 놓고 봐도 중국은 한 대당 30달러 수준이지만 미국은 300달러에 달할 수 있다는 분석도 있다.
삼성은 덜 타격…그러나 ‘애플 관세 면제’가 변수
삼성전자 역시 관세의 영향권에 있지만 애플보다는 유리한 위치다. 미국이 베트남산 스마트폰에 부과한 관세는 46%로, 애플의 중국 생산 대비 낮은 수준이다. 삼성전자는 전체 생산의 절반가량을 베트남에서 나머지는 인도(30%), 한국·브라질·인도네시아 등에서 나눠 생산하고 있다. 미국 내 판매 가격도 애플보다 낮다. 갤럭시 S25 울트라는 1299달러로 아이폰16 프로 맥스(1599달러)보다 저렴하다.
문제는 애플이 다시 관세 면제를 받을 수 있느냐다. 트럼프 대통령은 1기 재임 당시에도 애플 제품 일부에 관세 유예 및 면제를 적용한 바 있다. 업계는 애플이 자국 산업 기여와 투자 약속을 앞세워 이번에도 면제를 시도할 가능성이 높다고 본다. 만약 애플이 면제를 받는다면, 삼성전자는 상대적으로 역차별을 받는 구조에 놓일 수 있다.
스마트폰은 고가이지만 사실상 필수 소비재로 자리 잡은 만큼 가격 급등은 미국 소비자 반발로 이어질 수 있다. 이 때문에 애플의 관세 면제 여부는 단순한 기업 이슈를 넘어 시장 경쟁 구도 전체를 좌우할 변수로 부상하고 있다.
